한국 자본주의의 축적체제 변화 1987-2003 (알수59코너)

한국 자본주의의 축적체제 변화 1987-2003 (알수59코너)
한국 자본주의의 축적체제 변화 1987-2003 (알수59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정성진 저
출판사 / 판형 한울아카데미 / 2006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33쪽
정가 / 판매가 19,000원 / 17,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 자본주의 축적의 장기 추세와 위기: 1970~2003 / 정성진
1. 머리말
2. 이윤율의 저하
3. 금융화?
4. 경제적 종속의 심화
5. 결론

제2장 1990년대 자본축적과 국가의 역할 / 장상환
1. 서론
2. 분석 시각과 과제
3. 1960~1970년대의 국가주도 압축성장
4.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축적으로의 전환
5. 경제위기와 종속적 신자유주의 구조조정(1998~2003)
6. 맺음말

제3장 1990년대 한국 자본주의의 경쟁과 독점 분석 / 주무현
1. 문제제기
2. 1990년대 생산의 집중과 시장구조
3. 독점과 이윤율 격차구조
4. 시장구조의 이윤율 효과
5. 결론

제4장 한국 경제의 금융 부문 역할 심화 추세와 함의 / 김의동
1. 서론
2. 금융 부문 역할 심화와 비금융법인의 이윤율 추이
3. 제조업 수익률과 은행 수익률 비교
4. 금융자유화와 재벌기업의 금융화
5. 외국자본과 외환위기 이후 구조변화
6. 결론과 시사점

제5장 한국 경제의 장기침체 원인 / 김창근
1. 한국 자본주의의 축적구조에 대한 최근의 논의들
2. 금융체계 변화와 경기침체
3. 경기침체의 원인
4. 장기침체와 마르크스의 논의
5. 결론

제6장 1990년대 축적체계의 변화와 노사관계의 변화 / 이종래
1. 문제제기
2. 축적체계와 노사관계의 관계성
3. 한국 노사관계의 역사적 발전과정
4. 1990년대의 축적체계와 노사관계
5. 결론

제7장 한국 경제와 미국의 정책 / 마틴 하트-랜즈버그
1. 도입
2. 한국의 경제상황
3. 저변에 깔린 경제회복의 취약성
4. 중국으로의 이동
5. 한국의 사회적 조건
6. 성장의 동학
7. 위기의 동학
8. 구조조정의 동학
9. 그 다음은 무엇이?

보론 : 신자유주의의 역사적 위상 / 알렉스 캘리니코스
1.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대한 마르크스의 이론
2. 신자유주의: 자본주의 발전의 새로운 국면?
3. 신자유주의와 제국주의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