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령 평전 - 임진왜란 최후의 의병장 (알109코너)

저자 | 김영헌 (지은이) |
---|---|
출판사 / 판형 | 향지사 / 2006년 1판1쇄 |
규격 / 쪽수 | 150*225(보통책 크기) / 350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임진왜란 최후의 의병장인 김덕령의 생애를 조명한 평전. 조선 의병 총수였던 김덕령 장군이 서른이 채 되지 않은 나이에 비운의 죽음을 당하게 되는 원인과 영향 등을 알아보고자 했다.
풍부한 구비설화들을 바탕으로 민속학적인 방법을 원용함으로써 인물사 이해에 생동감을 더하고 있다. 또한 관련유적들의 현장답사를 통해 채록된 사진기록들을 본문과 연계하여 수록했으며, 상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목차
추천사
책머리에
프롤로그 - 갈등과 대립, 암울한 시대에 피어난 '충의의 혼'
제1부 비운의 죽음, 원인과 영향
관군의 회복과 의병의 변질
선조의 통치력 문제
동·서 핵심인사의 지원을 받지 못하다
충청병사 이시언과 경상우병사 김응서의 모함
송강 정철의 죽음
홍의장군 곽재우 은거
이순신의 고뇌와 순국
정유재란 때 호남 짓밟다
의병기피와 의병해체
제2부 김덕령의 성장과정과 주변환경
김덕령의 탄생과 가계
무등산과 충효마을
호남 사림의 교유처
용력 있고 효심 깊어
부인 흥양이씨와 근행석
사촌 김윤제·우계 성혼에게 배우다
제3부 임진왜란과 의병장이 되는 과정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형 덕홍과 함께 의병 참여
무등산에서 무기를 만들고 수련하다
호남 3대 의병장 고경명·김천일·최경회의 순절
전라도 관찰사, 김덕령 의병장 추천
전주 무과시험장에서 시범을 보이다
'충용'이란 군호가 내려지다
김덕령 의병은 사실상 관병
제4부 조선 의병 총수로서의 활동과 고초
"일본 오사카까지 가겠다" 기치
지휘부 두 그룹 인물로 구성
곽재우 장군에게 협력을 구하다
조선 의병의 총수가 되다
월아산 아래에 둔전 설치
진주 월아산 목책성과 제무소
진주성에서 전몰한 장사에 제를 올리다
고성·창원·정암진 전투 전과
곽재우·이순신·원균 수륙연합 장문포해전
엄격한 군율 적용, 살인죄로 체포 구금
"전시 상황 살인죄 적용 타당한 일인가"
난중 민중들의 참혹한 생활상
제5부 이몽학의 난과 억울한 죽음
이몽학의 난이 발생하다
이몽학, '김덕령이 도운다' 사칭
선조 김덕령 친국
약포 정탁의 변론
"충효로써 죽음을 삼은 죄밖에 없습니다"
직속상관 권율의 변호는 없었다
옥사 주도인물 유성룡인가, 최황인가
제6부 신원과 현창
옥사한 지 65년 만에 원을 풀다
벽진서원 배향과 은륜비
충장공·정려비·충효리 하사, 유사편찬
아우 덕보와 풍암정
석주 권필과 취가정
장군 묘 이장하던 날
김덕령 장군 의복 출토
충장사 건립 연혁
월아산 목책성비와 전적비, 순절비
민중의 영웅으로 전승
도로명·학교·군부대 '충장' 명명
에필로그 - 역사의 교훈과 제언
주
김덕령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머리에
프롤로그 - 갈등과 대립, 암울한 시대에 피어난 '충의의 혼'
제1부 비운의 죽음, 원인과 영향
관군의 회복과 의병의 변질
선조의 통치력 문제
동·서 핵심인사의 지원을 받지 못하다
충청병사 이시언과 경상우병사 김응서의 모함
송강 정철의 죽음
홍의장군 곽재우 은거
이순신의 고뇌와 순국
정유재란 때 호남 짓밟다
의병기피와 의병해체
제2부 김덕령의 성장과정과 주변환경
김덕령의 탄생과 가계
무등산과 충효마을
호남 사림의 교유처
용력 있고 효심 깊어
부인 흥양이씨와 근행석
사촌 김윤제·우계 성혼에게 배우다
제3부 임진왜란과 의병장이 되는 과정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형 덕홍과 함께 의병 참여
무등산에서 무기를 만들고 수련하다
호남 3대 의병장 고경명·김천일·최경회의 순절
전라도 관찰사, 김덕령 의병장 추천
전주 무과시험장에서 시범을 보이다
'충용'이란 군호가 내려지다
김덕령 의병은 사실상 관병
제4부 조선 의병 총수로서의 활동과 고초
"일본 오사카까지 가겠다" 기치
지휘부 두 그룹 인물로 구성
곽재우 장군에게 협력을 구하다
조선 의병의 총수가 되다
월아산 아래에 둔전 설치
진주 월아산 목책성과 제무소
진주성에서 전몰한 장사에 제를 올리다
고성·창원·정암진 전투 전과
곽재우·이순신·원균 수륙연합 장문포해전
엄격한 군율 적용, 살인죄로 체포 구금
"전시 상황 살인죄 적용 타당한 일인가"
난중 민중들의 참혹한 생활상
제5부 이몽학의 난과 억울한 죽음
이몽학의 난이 발생하다
이몽학, '김덕령이 도운다' 사칭
선조 김덕령 친국
약포 정탁의 변론
"충효로써 죽음을 삼은 죄밖에 없습니다"
직속상관 권율의 변호는 없었다
옥사 주도인물 유성룡인가, 최황인가
제6부 신원과 현창
옥사한 지 65년 만에 원을 풀다
벽진서원 배향과 은륜비
충장공·정려비·충효리 하사, 유사편찬
아우 덕보와 풍암정
석주 권필과 취가정
장군 묘 이장하던 날
김덕령 장군 의복 출토
충장사 건립 연혁
월아산 목책성비와 전적비, 순절비
민중의 영웅으로 전승
도로명·학교·군부대 '충장' 명명
에필로그 - 역사의 교훈과 제언
주
김덕령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