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함문화론 - 우리국학총서 1 (나7코너)

불함문화론 - 우리국학총서 1 (나7코너)
불함문화론 - 우리국학총서 1 (나7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최남선 (지은이) | 정재승 | 이주현 (옮긴이)
출판사 / 판형 우리역사연구재단 / 2008년 초판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94쪽
정가 / 판매가 20,000원 / 17,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동방문화의 정점으로 삼는 중국의 고대 문화가 실은 불함문화로서 대부분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점으로 볼 때,불함문화에 대한 학자의 태도와 관념은 앞으로 많이 개정되어야 할 줄로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조선인이건 일본인이건 자기들의 문화 내지 역사의 동기와 본질을 고찰할 경우에,무턱대고 중국 본위로 모색함을 지양하고 자기 본래의 면목을 자주적으로 관찰해야 할 것이며,한 발 나아가 중국문화의 성립에 대한 각자의공동 활동의 자취를 찾아서,동방문화의 올바른 유래를 밝히는 것이 앞으로 노력해야 할 방향이어야 할 것이다. - 제12장<불함문화의 계통>중에서 [양장본]

 

목차

『우리국학총서』를 펴내며
해제
제1장 동방문화의 연원
제2장 백산(白山)과 천자(天子)
제3장 일본의 ?(prk)산(山)
제4장 백산(白山)의 음운적 변전(變轉)
제5장 금강산은 작가라산(斫迦羅山 : Taigr)
제6장 태산부군(泰山府君)과 대인(大人)
제7장 신선도(神仙道)의 태반(胎盤)
제8장 ??리와 텡그리(Tengri)와 천구(天狗)
제9장 히코(ヒコ)와 다카(タカ)
제10장 조선 신도(神道)의 대계(大系)
제11장 건국설화상(建國說話上)의 천(天)과 단군(壇君)
제12장 불함문화의 계통
제13장 불함문화의 세계적 투영
제14장 지나(支那)문화의 동이소(東夷素) 또는 불함소(不咸素)
제15장 복희씨(伏羲氏)와 제(帝) 요순(堯舜)
제16장 몽골蒙古의 악박(鄂博)과 만주(滿洲)의 신간(神杆)
제17장 조선과 일본과의 제사상(祭祀上)의 일치
제18장 불함문화권과 그 설자(楔子)
최남선 년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불함문화론 원문 수록〕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