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생태학 1 - 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코너)

한국의 전통생태학 1 - 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코너)
한국의 전통생태학 1 - 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도원 (엮은이)
출판사 / 판형 사이언스북스 / 2007년 1판3쇄
규격 / 쪽수 170*250 / 651쪽
정가 / 판매가 30,000원 / 26,5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2002년 5월부터 진행되어 온 '전통 생태 모임'에서 발표된 연구 논문을 엮은 책. 한국 전통생태학의 출발점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들을 소개했다. 전통생태학의 중심 개념과 이론적 내용, 전통생태학의 환경 복원 연구, 실천적 함의 등을 다루었다.

1권 1부에서는 선조들의 삶과 문화 속에서 생태적 지혜를 발굴하려는 노력들을 담았고, 2부에서는 전통 마을의 생태 문화의 본 모습을 추적하는 연구 등을 정리했다. 3부에서는 전통적 생태 지혜가 전통 마을을 통해 어떤 식으로 계승되고 있는지를 설명했다.

과학교육과, 지리학과, 영문학과, 조경학과, 행정학과, 건축학과, 고고미술사학과, 민속학과 등 다양한 전공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우리의 옛 전통 속의 생태 사상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묶었다.

1권에 수록하고 남은 58개의 원고에서 15개의 원고를 뽑아 2권에 수록했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우리 민족의 근원을 산에서, 숲에서 찾는 「1부. 생명의 산과 마을숲」에서 시작되어 점차 생활공간으로 다가오면서 마을 입지와 풍수지리를 들여다본「2부. 바람과 물과 삶」을 거쳐 더 엄밀하게 가옥 구조를 분석한 「3부. 울타리 안의 전통생태」로 이어진다.

목차

1권

책을 펴내면서

1부 우리 전통 속의 생태 사상
1. 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 이도원
2. 풍수지리의 환경 사상 - 윤홍기
3. 한국의 전통적 경관 보완론 - 최원석
4.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과정과 복원 방향 - 신준환
5. 옛날에 공유지를 어떻게 이용했을까? - 윤순진
6. 굿 문화에 갈무리된 자연 친화적 사상 - 임재해
7. 옛 시조의 녹색 사상 - 김욱동
8. 겸재 정선의 생태 미학 - 이호신

2부 우리의 옛 환경 읽기
9. 꽃가루와 고목재로 해석한 우리 옛 숲 모습 - 박원규
10. 대나무와 문화 경관 - 공우석
11. 생태에 적응한 지리산지 농민의 전통 농법 - 정치영
12. 숲 문화와 생태 - 장동수
13. 마을숲 문화가 있는 아름다운 우리 농촌 마을 - 최재웅더보기

1권

책을 펴내면서

1부 우리 전통 속의 생태 사상
1. 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 이도원
2. 풍수지리의 환경 사상 - 윤홍기
3. 한국의 전통적 경관 보완론 - 최원석
4.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과정과 복원 방향 - 신준환
5. 옛날에 공유지를 어떻게 이용했을까? - 윤순진
6. 굿 문화에 갈무리된 자연 친화적 사상 - 임재해
7. 옛 시조의 녹색 사상 - 김욱동
8. 겸재 정선의 생태 미학 - 이호신

2부 우리의 옛 환경 읽기
9. 꽃가루와 고목재로 해석한 우리 옛 숲 모습 - 박원규
10. 대나무와 문화 경관 - 공우석
11. 생태에 적응한 지리산지 농민의 전통 농법 - 정치영
12. 숲 문화와 생태 - 장동수
13. 마을숲 문화가 있는 아름다운 우리 농촌 마을 - 최재웅
14. 그림으로 보는 생태 도시 한양과 일본의 에도 - 변우일

3부 대안 생태 공간으로서의 전통 마을
15. 한국의 전통 마을에서 본 환경 설계 원칙 - 신상섭
16. 생태를 고려한 집터 가꾸기 - 박경자
17. 생태 코드로 읽는 고산 윤선도 원림 - 성종상
18. 한국 전통 마을의 환경 친화성 - 한필원
19. 화회마을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 이규인
20. 생태 마을 가꾸기와 마을 전통의 복원 - 임경수
21. 전통 뒷간과 사찰 해우소 이야기 - 김재일

필자 소개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