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여왕 - 이미지로 본 성모대관의 다층적 의미 (파1코너)

하늘의 여왕 - 이미지로 본 성모대관의 다층적 의미 (파1코너)
하늘의 여왕 - 이미지로 본 성모대관의 다층적 의미 (파1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정은진
출판사 / 판형 서강대학교출판부 / 2011년 초판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95쪽
정가 / 판매가 22,000원 / 17,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인데 속지 첫장 덧댄 종이(여백지) 1장 오려지고 없음

도서 설명

『하늘의 여왕』은 이미지를 통해 <성모대관>의 다층적 의미를 분석한 책이다.

이 책은 서양 미술에 나타난 마리아 이미지 중 그녀를 여왕으로 그리고 있는 작품을 다루었다. 12~16세기 초까지의 '성모대관'은 어떤 의도로 제작되었으며,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이 책을 통해 그 역사적 파노라마를 추적한다.

 

목차

여는 글

제1장 왜 성모대관인가?
1. 세 가지 목적
2. 선행 연구와 문제점들
3. 연구의 경계: 시간, 공간, 매체

제2장 유래: 텍스트와 이미지에서의 기원들
1. 문헌에 언급된 성모대관
2. 성모대관 이전의 대관 이미지
3. 마리아 공경과 축제

제3장 출현: 신부이미지와 여왕이미지
1. 출현 배경: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2. 신부이미지(Imago Sponsae): 영적인 결혼과 성사로서의 결혼
3. 여왕이미지(Imago Reginae): 강력한 교황군주제를 향하여

제4장 변화: 내러티브에서 메타포로
1. 종교적 위기와 사회적 불안
2. 서술적 문맥 속의「성모대관」
3. 제단화로 독립된「성모대관」

제5장 절정: 천국의 풍경
1. 신학적 논쟁과 문학적 상상력의 반영
2. 새로운 모티프의 등장
3. 성인 공경과 새로운 공간의 창조
4. 천국의 풍경

제6장 해체: 다시 지상으로
1. 개혁 그리고 마리아
2. 남겨진 이와 숨겨진 이
3. 에필로그

부록: 성모대관 목록
참고문헌
그림목록
그림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