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인 사회 - 우리는 어떻게 사람이 아닌 돈을 사랑하게 되었나? (알집13코너)

이기적인 사회 - 우리는 어떻게 사람이 아닌 돈을 사랑하게 되었나? (알집13코너)
이기적인 사회 - 우리는 어떻게 사람이 아닌 돈을 사랑하게 되었나? (알집13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수 거하트 (지은이), 김미정 (옮긴이)
출판사 / 판형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1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500쪽
정가 / 판매가 18,000원 / 10,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흔히들 이기심은 인간의 본성이라고 믿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활동, 특히 경제 행위에 있어서 이기적인 행동은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즉, 인간이 권력이나 돈을 놓고 경쟁을 벌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경제적 이익의 극대화야말로 합리적인 사고와 행위의 바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자유주의는 이러한 믿음의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위의 통설에 반하는 주장을 한다. 저자는 심리치료사로서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냉철하게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자본주의라는 특정 조건의 결과로 현재 인간의 이기심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사회가 형성되었다고 분석한다.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인 이기심의 극복을 구호나 선언으로 간단하게 끝내버리지는 않는다. 그녀는 중세 농촌 경제에서 근대 자본주의로의 이행에 따라 공동체적이며 이타적인 사회적 관계가 개인적이며 이기적인 사회적 관계로 바뀌었듯이 가정에서도 마찬가지의 변화를 겪었다고 보고 있다. 자본주의 이행이 사람들을 이기적으로 만들었고, 그 이기적인 사람들이 아기들을 낳아 이기적인 성인으로 만드는 악순환 구조의 늪에 빠져버린 것이다.

문제는 아이들이 생애 초기에 누려야 할 부모로부터 오는 충만한 애정을 누리지 못한 채 자란다면 더욱 심각하다. 생애 초기에 이미 부모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상호 의존적인 세계를 경험하지 못하고, 또한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배움으로써 습득할 도덕적 가치를 형성할 기회를 박탈당한다는 데에 있다.

감사의 말

1부 문제 규명하기
들어가며
1장 현재 상황

2부 양육의 영향
2장 감정 학습
3장 이기적인 아기
4장 자본주의의 이기심
5장 공감은 왜 그토록 어려운가?
6장 가족의 재력

3부 공적인 영역에서 일어나는 정서발달
7장 더 이상 영웅은 없다
8장 우리는 이미 자본주의를 겪었다
9장 변화의 과정
10장 이기심 없는 사회를 위한 도덕적 탈바꿈

찾아보기

감사의 말

1부 문제 규명하기
들어가며
1장 현재 상황

2부 양육의 영향
2장 감정 학습
3장 이기적인 아기
4장 자본주의의 이기심
5장 공감은 왜 그토록 어려운가?
6장 가족의 재력

3부 공적인 영역에서 일어나는 정서발달
7장 더 이상 영웅은 없다
8장 우리는 이미 자본주의를 겪었다
9장 변화의 과정
10장 이기심 없는 사회를 위한 도덕적 탈바꿈

찾아보기
참고문헌 허가 승인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