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지방군제연구 - 영장제(營將制)를 중심으로 (알역3코너)

조선후기 지방군제연구 - 영장제(營將制)를 중심으로 (알역3코너)
조선후기 지방군제연구 - 영장제(營將制)를 중심으로 (알역3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서태원
출판사 / 판형 혜안 / 1999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270쪽
정가 / 판매가 12,000원 / 11,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임진왜란 이후 영장제를 중심으로 지방군제의 성격을 분석한 연구서.

영장제 시행의 역사적 배경, 영장제의 성립과 구조, 17세기의 국가재건과 영장제, 중세사회의 해체와 영장제 등 조선 후기 지방군제의 변화와 면면을 체계적으로 조명 고찰했다.

조선왕조가 수 차례에 걸친 체제위기를 극복하면서 국가를 운영해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을 분석한 연구서. 저자는 그 해답을 영장제에서 찾고 있다. 임진왜란 초기 일본의 조총이나 군역제의 동요 등으로 조선군이 연패의 수렁에 빠지자 조선정부는 왜구를 물리치는 데 효과를 본 명의 절강병법을 도입하여 속오군을 창설하였다.

바로 이 속오군의 지휘와 훈련 등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 영장제이다.

이 영장제는 왜란 이후 예상되는 청나라와의 전쟁에 대비하여 지방군 훈련제도를 재정비 등 지방군사력을 강화하는데 활용되었다. 저자는 이 연구서에서 `영장제는 임진왜란과 두 차례의 호란을 거치면서 기능이 더욱 확대되어 지방의 치안임무까지 맡게 되는 등 조선후기 사회체제 유지에 나름대로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한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