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와 만나는 한국의 선비문화 - 석학인문강좌 51 (알집53코너)

저자 | 한영우 |
---|---|
출판사 / 판형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4년 초판1쇄 |
규격 / 쪽수 | 150*225 (보통책 크기) / 332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석학인문강좌 51권. 한영우 교수의 <미래와 만나는 한국의 선비문화>. 저자가 선비정신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한국사의 역대 왕조가 500년 또는 그 이상 장수한 비결을 알아야 하겠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대한민국이 단기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달성한 비결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서양에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있다면 우리나라에는 선비와 선비정신이 있다."고 주장한다.
_책을 내면서·4
제1장 선비정신의 뿌리
1. ‘선비’라는 말의 기원·19
2. 선비정신의 원형: 단군신화·23
3. 단군신화에 보이는 ‘홍익인간’의 공동체윤리·28
4. 외국인이 본 한국의 선비문화(공동체문화)·31
5. 〈단군신화〉에 보이는 ‘천지인합일’의 우주관·37
(1) 삼신(三神)·37
(2) 삼위태백(三危太白) ·40
(3) 천부인(天符印) 3개·40
(4) 삼신(三臣)과 무리 3천 명·42
(5) 인간 360가지 일·43
(6) 삼칠일(三七日) 동안 햇빛을 보지 않다·43
(7) 단군의 수명은 1908년, 단군의 치세는 1500년·44
6. 삼신일체(三神一體)의 우주관·44
(1) 음양오행사상·44
(2) 포용적 조화의 철학·47
(3) 사람은 죽어서 하늘로 돌아간다·50
(4) 제천(祭天)은 곧 효(孝)이다·52
7. 음양오행사상의 심화 ·54
(1) 음양과 태극·54
(2) 오행사상의 발전·57
(3) 오방색(五方色) 문화·65
제2장 예술에 반영된 선비정신
1. 전통 예술을 보는 눈·71
2. 한국의 ‘미’(美)는 무엇인가. ·74
3. 한국의 옛 건축과 조경(造景)·79
(1) 건축재료·79
(2) 국가의 건축정책·81
(3) 건축조형의 특징·85
4. 악기와 노래·93
범종(삼국, 고려)·93
5. 한국의 춤·97
6. 한국의 그림·99
(1) 고분벽화와 불교미술·99
(2) 겸재 정선의 신바람 산수화·102
(3) 김홍도와 신윤복의 낙천적 풍속화·112
7. 자연에 순응한 한국의 공예·119
8. 훈민정음과 천지인사상·122
제3장 왕조시대 정치에 반영된 선비정신
1. 삼국시대의 선비와 선비정신 ·127
2. 고려시대 선비와 선비정치·132
(1) 향도(香徒)와 두레·132
(2) 태조의 〈훈요십조〉와 최승로의 상소에 담긴 선비정신·136
(3) 고려의 애국명장과 김부식·138
(4) 균여(均如), 묘청(妙淸), 일연(一然)·139
(5) 팔관회와 팔관계율에 반영된 선비정신·141
(6) 풍수지리와 선비정신·144
3. 조선시대 선비정신과 선비정치·147
(1) 선비정신과 성리학의 만남·147
(2) 민본사상과 공익정치·148
(3) 정도전의 민본사상·149
(4) 세종의 민본정치·152
(5) 조선후기 민국사상(民國思想)·154
(6) 공선(公選)의 인사제도·155
(7) 공론(公論)과 공거(公車)의 소통정치·157
(8) 공전(公田)과 공개념(公槪念)의 경제구조·161
(9) 교육과 기록문화의 발달·162
(10) 조선시대 기록문화유산·165
(11) 왕실의 검소한 의식주생활·194
(12) 벼슬아치와 양반의 의식주생활·198
(13) 향도(香徒) 공동체와 선비정신·201
(14) 두레공동체와 선비정신·204
(15) 향약(鄕約) 공동체와 선비정신·207
4. 선비정신과 서양 근대의 만남·210
제4장 일제강점기의 선비정신
1. 한일관계의 특수성·217
2. 일제강점기의 선비정신·223
(1) 단일민족주의·223
(2) 공산주의·224
(3) 서구식 민주주의·226
(4)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228
제5장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과 미래를 위한 자성
1.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233
(1) 대한민국은 뿌리 깊은 나무·233
(2) 치열한 교육열, 성취욕, 근면성·234
(3) 공동체문화와 협동정신·236
(4) 통합적 사고방식·238
(5) 신바람의 국민성·240
2. 미래를 위한 자성(自省)·246
(1) 안정과 평화를 위하여·246
(2) 진보와 보수를 넘어서 중도홍익(中道弘益)으로·247
(3) 새 정치의 방향·251
(4) 평화통일의 중요성·255
(5) 경제, 사회, 문화의 자성·259
(6) 서양문명의 반성·266
제6장 결론: 법고창신의 길·277
종합토론
1. 이승환 교수(고려대학교)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285
2. 문철영 교수(단국대학교)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297
3. 청중질문에 대한 답변·308
_찾아보기·324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