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와 그리스도교(수정증보판) (집40코너)

유교와 그리스도교(수정증보판) (집40코너)
유교와 그리스도교(수정증보판) (집40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성배
출판사 / 판형 분도출판사 / 2001년 수정증보판4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352쪽
정가 / 판매가 10,000원 / 10,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 - 상태는 아주 좋으나 간단한 볼펜 밑줄 2곳 있음. 속지 첫장 사인(서명) 하나 남김

도서 설명

도서목록 서론 제1장 이벽과 한국천주교회의 기원 1. 유학자들을 통한 그리스도교의 발견 2. 이 벽 - 그 인물과 시대상황 3. 천진암 주어사 강학회와 천주공경가 4. 최초의 영세자 이 승훈 5. 최초의 그리스도교 공동체 1 이 벽의 회개 2 최초의 복음전파 시도 3 다산 정 약용에게 미친 이 벽의 영향 4 교회의 설립 6. 반대하는 사람들 7. 박해 8. 순교자냐 배교자냐 9. 한국교회의 발전 제2장 이 벽의 저서 서설 : 《만천유고》 蔓川遺稿 1. 〈천주공경가〉 2. 〈성교요지〉 제3장 이 벽의 새로운 그리스도교 신학 1. 유학적 바탕 1 공자 이전의 〈하늘〉〔天〕의 개념 2 공자의 〈인〉 仁 3 공자 이후의 유교 4 중세의 유학 : 성리학 性理學 5 한국의 유학 주자학 2. 그리스도교 교리의 새싹 1 그리스도교의 하느님 2 인간문제 3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 4 교회·선교·성사·심판 등 3. 신학적 고찰 제4장 〈하늘〉〔天〕 1. 중국의 그리스도교 선교와 한문으로 된 그리스도교 서적의 한국 수입 1 ... 도서목록 서론 제1장 이벽과 한국천주교회의 기원 1. 유학자들을 통한 그리스도교의 발견 2. 이 벽 - 그 인물과 시대상황 3. 천진암 주어사 강학회와 천주공경가 4. 최초의 영세자 이 승훈 5. 최초의 그리스도교 공동체 1 이 벽의 회개 2 최초의 복음전파 시도 3 다산 정 약용에게 미친 이 벽의 영향 4 교회의 설립 6. 반대하는 사람들 7. 박해 8. 순교자냐 배교자냐 9. 한국교회의 발전 제2장 이 벽의 저서 서설 : 《만천유고》 蔓川遺稿 1. 〈천주공경가〉 2. 〈성교요지〉 제3장 이 벽의 새로운 그리스도교 신학 1. 유학적 바탕 1 공자 이전의 〈하늘〉〔天〕의 개념 2 공자의 〈인〉 仁 3 공자 이후의 유교 4 중세의 유학 : 성리학 性理學 5 한국의 유학 주자학 2. 그리스도교 교리의 새싹 1 그리스도교의 하느님 2 인간문제 3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 4 교회·선교·성사·심판 등 3. 신학적 고찰 제4장 〈하늘〉〔天〕 1. 중국의 그리스도교 선교와 한문으로 된 그리스도교 서적의 한국 수입 16-18세기 2. 이 벽 이전의 주자학자들에 의한 그리스도교와 하느님에 대한 재판 1 개관 - 사후상벌에 관한 교리 일반적인 관점과 천당·지옥설 2 천주실의에 대한 유학자들의 비판 3. 서경에 나타난 〈하늘〉〔天〕의 의미 1 창조주 하늘 2 하늘의 섭리 3 하늘의 심판 4 하늘의 속성 4. 이 벽 - 하늘의 의미에서 참 하느님을 드러내기까지 1 자연천 自然天 2 상제천 上帝天 3 역리천 易理天 4 이 벽의 하느님 제5장 〈인〉 仁 1. 인간실존으로서의 〈인〉 2. 〈인〉의 길 : 인간이 인간으로서 걸어야 하는 길 3. 공자의 덕 : 덕과 중용 효도와 자비 4. 〈인〉의 성취로서의 〈사랑〉〔愛〕 5. 〈인의 사람〉〔仁人〕과 성취된 사랑의 길 6. 이 벽과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제6장 〈성〉 誠 : 강생하신 말씀 1. 誠이라는 글자 - 이루어진 말씀 Verbum factum 2. 중용에서의 〈성〉 1 〈성〉의 원천은 천명 天命 2 신 神 과 지성 至誠 3 〈성〉은 인간의 길〔人道〕 4 인간의 길은 〈성〉안에서 하늘의 길을 계시한다 5 〈성〉의 실현 말씀이 이루어짐 〈도〉 道 6 인도 人道 와 천도 天道 의 결합과 그 결과 7 〈성〉의 초월적 특성 - 진리 verite 3. 이조왕국의 〈성〉 - 변질된 진리 4. 이 벽의 〈성〉 - 〈성〉의 해석 안에서 하느님의 계시이며 진리인 예수 그리스도 제7장 하느님의 계시로서의 인간현실의 신학 1. 〈성〉의 해석학 Hermeneutique 과 현대신학 2. 윤리신학과 기초신학을 위한 유학의 가치 3. 세계문화 속에서 그리스도교의 보편성과 단일성 4. 계시 앞에 선 태도 - 성심 誠心 과 독단적 궤변 詭辯 5. 〈현실적〉 reelle 신학을 향하여 결론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