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품 마하반야바라밀경 - 상권 (집94코너)

저자 | 혜담지상 (옮긴이) |
---|---|
출판사 / 판형 | 불광출판사 / 1992년 초판 |
규격 / 쪽수 | 150*225 (보통책 크기) / 550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 보관케이스 있음
도서 설명
‘부처님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자’는 새로운 불교운동의 선구경전이 반야경이다. 대승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교학인 공사상(空思想)을 전부 포함하고 있는 반야경은 다른 어떤 경전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반야경 가운데 대품반야경은 원시반야경에서부터 설해진 반야바라밀·공(空)·무자성(無自性)·보살마하살·육바라밀·대승·이타행·재가적 성격·경전의 독송 및 타인을 위해서 설하는 공덕·반야바라밀 염송의 공덕·경전공양의 공덕·삼매 등에 관해 빠짐없이 설하고 있다.
대품반야경을 온전히 번역한 혜담 스님은 “반야바라밀을 단지 글로 써서 책으로 만들어 집에서 공양만 하더라도 사람이나 혹은 사람이 아닌 것이 해를 끼치려고 해도 그 기회를 얻을 수 없다.”고 설한 경전 말씀을 인용하면서 중생들에게 많은 이익을 안겨주는 대품반야경이 널리 유포되길, 그 인연으로 모두가 함께 성불하길 발원하고 있다.
목차
제1권 제1 서품(序品 第一) 제2 봉발품(奉鉢품品 第二) 제3 습응품(習應品 第三) 제2권 제4 왕생품(往生品 第四) 제5 탄도품(歎度品 第五) 제6 설상품(舌相品 第六) 제7 삼가품(三假品 第七) 제3권 제8 권학품(勸學品 第八) 제9 집산품(集散品 第九) 제10 상행품(相行品 第十) 제4권 제11 환학품(幻學品 第十一) 제12 구의품(句義品 第十二) 제13 금강품(金剛品 第十三) 제14 요설품(樂說品 第十四) 제15 변재품(辯才品 第十五) 제16 승승품(乘乘品 第十六) 제5권 제17 장엄품(莊嚴品 第十七) 제18 문승품(問乘品 第十八) 제19 광승품(廣乘品 第十九) 제6권 제20 발취품(發趣品 第二十) 제21 출도품(出到品 第二十一) 제22 승출품(勝出品 第二十二) 제23 등공품(等空品 第二十三) 제7권 제24 회종품(會宗品 第二十四) 제25 십무품(十無品 第二十五) 제26 무생품(無生品 第二十六) 제27 문주품(問住品 第二十七) 제8권 제28 환청품(幻聽品 第二十八) 제29 산화품(散華品 第二十九) 제30 삼탄품(三歎品 第三十) 제31 멸쟁품(滅諍品 第三十一) 제9권 제32 대명품(大明品 第三十二) 제33 술성품(述成品 第三十三) 제34 권지품(權持品 第三十四) 제35 견이품(遣異品 第三十五) 제36 존도품(尊導品 第三十六) 제10권 제37 법칭품(法稱品 第三十七) 제38 법시품(法施品 第三十八) 제11권 제39 수희품(隨喜品 第三十九) 제40 조명품(照明品 第四十) 제41 신훼품(信毁品 第四十一) 제12권 제42 탄정품(歎淨品 第四十二) 제43 무작품(無作品 第四十三) 제44 변탄품( 歎品 第四十四) 제13권 제45 문지품(聞持品 第四十五) 제46 마사품(魔事品 第四十六) 주해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