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 지은 경복궁 - 동양 미학으로 읽다 (가15-1코너)

예로 지은 경복궁 - 동양 미학으로 읽다 (가15-1코너)
예로 지은 경복궁 - 동양 미학으로 읽다 (가15-1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임석재
출판사 / 판형 인물과사상사 / 2015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90*260(노트 정도의 크기) / 888쪽
정가 / 판매가 50,000원 / 34,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책으로 경복궁을 다시 짓다!

경복궁의 탄생 과정과 건축 미학을 연구한 최초의 연구서 『예로 지은 경복궁』. 이 책은 경복궁의 건축적 특성과 그 뒤에 숨은 사상적, 역사문화적 배경을 연구한다. 연구 방향과 기준은 ‘예’를 토대로 동아시아의 주요 사상 가치로 삼았다. 이런 가치들을 개념 주제어로 잡은 뒤 그것이 경복궁에 반영된 내용을 추적했으며, 그것들을 현대의 관점에서 어떻게 감상하고 받아들일지 고민하여 들려준다.

많은 이들이 ‘서울’하면 남산, 남대문시장과 함께 경복궁을 떠올린다. 경복궁에는 그에 합당하고 걸맞은 위엄과 무엇인지 모를 기품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까지 수도 서울의 중심을 형성하는 경복궁에 대해 많은 책들이 나왔지만 대부분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발췌하거나 건축과 의례 등과 관련된 용어 설명이 주를 이루었다. 정작 가장 기본이 되는 건축적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 책은 거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조선은 성리학 위에 세운 나라이기 때문에 법궁을 설계하고 지을 때에는 유교를 기본으로 여러 사상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지금의 경복궁을 이해하기 위해서 사상적 배경을 알아야 할 것이다.

경복궁의 건축적 특성은 삼조오문, 축 구성, 동심원 구성의 세 가지 내용이 주를 이룬다. 사상적 배경으로는 유교의 예학을 큰 방향으로 삼아 ‘주례’와 '조선경국전‘ 그 이외에 유교의 기본 경전들을 해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이외에도 경복궁 건축을 주도한 세 명의 주역인 태조, 태종, 세종에 대해서는 좀 더 심층적으로 들어가서 당시의 역사적, 사상적 상황을 배경으로 삼아 경복궁 건축의 특징을 해석하고자 했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