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역사 다시보기 - 왜곡과 미화를 넘어 (알역93코너)

제주역사 다시보기 - 왜곡과 미화를 넘어 (알역93코너)
제주역사 다시보기 - 왜곡과 미화를 넘어 (알역93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영권
출판사 / 판형 신서원 / 2005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320쪽
정가 / 판매가 10,000원 / 10,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매우 깨끗하고 상태 아주 좋음)

도서 설명

목차

글 머리에

제1부 : 제주역사 에세이
1. 제주도가 한국불교의 발상지라고?
2. 목호토벌은 4·3 이전 제주도민 최대 학살사건이다
3. 시늉에 그친 역사유적지 복원
4. 너는 왜구, 나는 해민?
5. 복신미륵은 과연 고려시대 불상인가?
6. 오현, 그들은 과연 제주인의 추앙을 받을만한 선현들이었나?
7. 집의계선서는 예언서인가?
8. 제주항일운동의 색깔을 복원하라
9. '혈원지원'친일가슴이 노래한 '서귀포 칠십리'
10. 제주도인민위원회의 부활을 꿈꾸며
11. 진실을 잃어버린'4·3 잃어버린 마을 표석'
12. 국민방위군, 무명용사로 둔갑한 국가폭력의 희생자
13. 태권도는 제주도에서 만들어졌다.

제2부 : 문답으로 읽는 제주4·3
1. 일제치하에서 민족해방운동을 주도적으로 벌인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2. 좌익과 우익에 대해 정확히 알고 싶은데요? 더보기

글 머리에

제1부 : 제주역사 에세이
1. 제주도가 한국불교의 발상지라고?
2. 목호토벌은 4·3 이전 제주도민 최대 학살사건이다
3. 시늉에 그친 역사유적지 복원
4. 너는 왜구, 나는 해민?
5. 복신미륵은 과연 고려시대 불상인가?
6. 오현, 그들은 과연 제주인의 추앙을 받을만한 선현들이었나?
7. 집의계선서는 예언서인가?
8. 제주항일운동의 색깔을 복원하라
9. '혈원지원'친일가슴이 노래한 '서귀포 칠십리'
10. 제주도인민위원회의 부활을 꿈꾸며
11. 진실을 잃어버린'4·3 잃어버린 마을 표석'
12. 국민방위군, 무명용사로 둔갑한 국가폭력의 희생자
13. 태권도는 제주도에서 만들어졌다.

제2부 : 문답으로 읽는 제주4·3
1. 일제치하에서 민족해방운동을 주도적으로 벌인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2. 좌익과 우익에 대해 정확히 알고 싶은데요?
3. 해방 후 건설하려 했던 새 조국의 모습은 어떤 것이었나요?
4. 1945년 8월 15일,일제 패망소식을 듣고 백범 김구는 왜 긴 탄식을 했을까요?
5.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연합국은 한국의 독립을 약속했다고 배웠는데요...
6. 자주 언급되는 '인민위원회'는 공산당 조직이 아닌가요?
7. 조선인민공화국(인공)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같은 건가요?
8. '신탁통치문제'는 심하게 왜곡되었다고 하는데 그 진실은 무엇인가요?
9. 1947년 2월 제주도 '민전'결성식에서 스탈린과 김일성을 명예회장으로 추대한 점을 보면
아무래도 '민전'은 공산주의 조직 같은데요?
10. 4·3의 발단이라는 3·1시위는 기미년 만세운동과는 물론 다른 것이겠죠?
11. 제주도 사람들에게 악명 높은 서북청년회(서청)는 어떤 조직인가요?
12. 1948년 4월 3일 제주도민들은 '단독선거, 단독정부수립 저지'와 '자주적 통일국가 건설' 그리고
'경찰과 서청의 추방'을 요구조건으로 봉기했다고 했는데, 당시 도민들의 정치의식이 통일이나 분단을
논할 만큼 높았던 것인가요?
13. 한마디로 말해 4·3은 왜 일어났나요?
14.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교과서에는 '공산주의자들이 일으킨 무장폭동'이라고 기술되어 있는데요?
15. 그렇다면 누가, 왜4·3를 '공산폭동'으로 왜곡하는 건가요?
16. 군경의 토벌대상이 되었던 유격대의 규모는 어느 정돈가요?
17. 4·3 발발당시 한라산 정상에 오각별기(북한기)가 휘날렸다는 주장도 있던데요?
18. 4·3이 조기에 평화적으로 수습될 기회가 있었다면서요?
19. 오라리 방화사건의 진상은 무엇입니까?
20. 대한민국은 유엔이 승인한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인가요?
21. 1948년 8월 해주대회에 4·3의 주역들이 참석한 것을 보면 아무래도4·3은 북한과
관계 깊은 것 같은데요
22. 4·3과 관련한 사망자 숫자는 어느 정도 되나요?
23. 제주4·3관련 연구서적들에 자주 등장하는 G-2 보고서란 무엇인가요?
24. 제주4·3 당시 선포된 계엄령은 불법이라면서요?
25. 인간으로서 상상하기 힘든 그런 학살을 자행한 심리는 어떤 것일까요?
26. 제주4·3과 관련해서'연좌제 피해'라는 말이 있던데 그건 또 무엇인가요?
27. 4·3에는 미국의 책임도 크다고 하던데요?
28. 이제 4·3에 대해 올바른 이름을 붙여주세요
29. 4·3갈등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30. 제주4·3과 관련해서 최근의 변화된 상황을 이야기해 주세요

참고문헌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