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서방정책 연구 (알역92코너)

저자 | 이성제 |
---|---|
출판사 / 판형 | 국학자료원 / 2005년 초판1쇄 |
규격 / 쪽수 | 150*225 (보통책 크기) / 235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새책
도서 설명
고구려의 서방정책을 연구한 책이다. 기본적으로 영토를 달리하는 독립된 국가 간의 대등한 관계였던 북조.남조.유목세력과의 관계, 하지만 공식적으론 책봉조공관계가 성립된 북조와 고구려간의 관계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책머리에
서 론
제Ⅰ장 長壽王의 對北魏交涉과 그 政治的 意味
- 北燕을 둘러싸고 이루어진 對北魏關係의 전개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2. 長壽王 23年(435)의 對北魏外交와 그 意味
3. 長壽王 24年(436) 高句麗軍의 和龍城 入城과 北燕王 迎入
4. 北燕王勢力의 確保와 對北魏關係의 變化
5. 맺음말
제Ⅱ장 長壽王代 對宋外交와 그 意義
1. 머리말
2. 長壽王의 北燕王 馮弘 제거와 對宋外交
3. 北魏의 和龍 鎭守와 東方政策
4. 對宋外交 中心의 西方政策 추진과 그 意義
5. 맺음말
제Ⅲ장 高句麗의 西方政策과 對北魏關係의 定立
- 高句麗의 ‘專制海外’를 둘러싼 北魏의 認識 변화를 중심으로 -
책머리에
서 론
제Ⅰ장 長壽王의 對北魏交涉과 그 政治的 意味
- 北燕을 둘러싸고 이루어진 對北魏關係의 전개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2. 長壽王 23年(435)의 對北魏外交와 그 意味
3. 長壽王 24年(436) 高句麗軍의 和龍城 入城과 北燕王 迎入
4. 北燕王勢力의 確保와 對北魏關係의 變化
5. 맺음말
제Ⅱ장 長壽王代 對宋外交와 그 意義
1. 머리말
2. 長壽王의 北燕王 馮弘 제거와 對宋外交
3. 北魏의 和龍 鎭守와 東方政策
4. 對宋外交 中心의 西方政策 추진과 그 意義
5. 맺음말
제Ⅲ장 高句麗의 西方政策과 對北魏關係의 定立
- 高句麗의 ‘專制海外’를 둘러싼 北魏의 認識 변화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2. 對北魏外交의 再開와 그 意味
3. 高句麗의 勢力圈과 北魏의 干涉
4. 對北魏關係의 定立과 高句麗의 ‘專制海外’
5. 맺음말
제Ⅳ장 “北魏末 流人”문제를 통하여 본 高句麗의 西方政策
- 國際情勢의 變化에 따른 高句麗의 對應에 주목하여 -
1. 머리말
2. 北齊 文宣帝의 營州 진출과 流人 送還 요구
3. 北魏末의 混亂과 高句麗의 流人 包攝
4. 高句麗의 流人 送還과 그 意味
5. 맺음말
제Ⅴ장 高句麗의 遼西 攻擊과 對隋戰爭의 開始
1. 머리말
2. 6世紀末 高句麗와 隋의 關係
3. 隋의 遼西 進出과 營州總管府 設置
4. 高句麗의 遼西 攻擊과 그 性格
5. 맺음말
결 론
參考文獻
Abstract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