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남원 동학농민혁명 (역73코너)

전라도 남원 동학농민혁명 (역73코너)
전라도 남원 동학농민혁명 (역73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채길순 | 최민자 | 이이화 | 신영우 | 조극훈 | 이병규 | 조규태 (지은이) | 동학학회
출판사 / 판형 모시는사람들 / 2015년 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52쪽
정가 / 판매가 15,000원 / 12,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각 지역의 동학에 대해 알아보고자 기획된 '동학총서' 두 번째 책. 남원 지역 동학의 정체성과 의의를 밝힌다. 동학 교조 최제우(수운) 선생은 전라도 남원에서 동학 경전을 저술하며 동학의 교리를 완성하였고, 이때 편찬된 <논학문>에서는 처음으로 '동학'이라는 명칭이 쓰이기도 했다. 또 이곳은 갑오년(1894)에 김개남의 주도 하에 전라좌도 대도소가 설치된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이 책은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의의와 가치를 21세기 글로컬(Glocal) 시대의 시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남원 지역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발전적 과제에 대한 통찰을 통해 미래적 전망을 할 수 있게 한다.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을 위한 소고 | 최민자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성격과 현재적 의의 | 이이화
1894년 남원 대도소의 9월 봉기론과 김개남군의 해산 배경 | 신영우
남원지역 토착 동학농민군의 활동 | 이병규
은적암과 초기 남원지역의 동학 전파 | 임형진
동학농민운동 이후 남원 출신 동학인과 천도교인의 활동 | 조규태
동학 경전에 나타난 근대성과 남원의 정체성 | 조극훈
사적지를 중심으로 본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 | 채길순
부록 – 남원 동학농민혁명 유물 유적 표지석 문안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