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의 풍수지리사상 (알풍3코너)

중국고전의 풍수지리사상 (알풍3코너)
중국고전의 풍수지리사상 (알풍3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김혜정
출판사 / 판형 한국학술정보 / 2008년 초판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240쪽
정가 / 판매가 15,000원 / 13,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중국의 고전 속에서 확인한 풍수지리사상!

동기감응과 기(氣) 그리고 제사 

 

이 책에서는 풍수지리학의 사상적 연원을 중심으로 그 형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풍수지리학의 중요한 사상적 토대는 자연의 섭리에 대한 고찰과 순응의식 및 기(氣)의 원리로 설명된다. 기에 대한 고찰은 중국의 고전들 속에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으므로 본서는 그것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고전의 기록을 직접 살펴보는 과정은 이후 풍수지리 이론에 대한 전문적 이해를 위해서도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보다 분명한 이해를 위해서 현대 풍수지리학의 기본 이론체계와 풍수지리학의 초기 저서 등도 빠뜨리지 않았다.특히 이 책에서는 『삼경(三經)』과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주례(周禮)』 등의 고전과 함께 풍수지리학의 대표 고전인 『청오경(靑烏經)』ㆍ『금낭경(錦囊經)』ㆍ『삼룡경(三龍經)』과 청대의 『지리오결』 등을 분석하였으며 현대의 중국과 대만의 고전들도 포함하여 서술하였다.

목차

서문

Ⅰ. 서론

Ⅱ. 풍수지리학의 기본이론체계
1. 풍수지리의 명칭과 유래
2. 풍수지리 간사(簡史)
3. 고대 천문학과 역학(易學)
4. 음양오행론과 십간십이지론
5. 사신사(四神砂)와 나반(羅盤)
6. 지리와 길흉

Ⅲ. 제사와 풍수지리
1. 상제와 일사(一祀)
2. 천과 조상신
3. 귀(鬼)와 신(神)의 이치
4. 천신(天神)ㆍ지기(地?)ㆍ인귀(人鬼)
5. 생사와 혼백
6. 대교(大敎)와 동기감응론

Ⅳ. 선진(先秦) 시기의 풍수지리 사상
1. 상지(相地)와 복택(卜宅): 『시경』
2. 상택(相宅)과 복택(卜宅): 『서경』
3. 천문(天文)과 지리(地理): 『역경』
4. 상례(喪禮)와 인본(人本): 『예기』
5. 지세(地勢)와 지특(地慝): 『주례』
6. 사유(四維)와 원칙: 『관자』
7. 개장(改葬)과 파묘(破墓): 『춘추좌씨전』

Ⅴ. 진한(秦漢) 시기의 풍수지리 사상
1. 필검(必儉)ㆍ필합(必合)ㆍ필동(必同): 『여씨춘추』
2. 감응과 감동(感動): 『회남자』
3. 동류통기(同類通氣): 『논형』
4. 길흉의 주관: 『청오경(靑烏經)』
5. 예견된 혈처(穴處): 『서경잡기』

Ⅵ. 위진남북조ㆍ당ㆍ송의 풍수지리 사상
1. 탈신공(奪神功)ㆍ개천명(改天命): 『장경(葬經)』
2. 형기론(形氣論)의 정립: 『삼룡경(三龍經)』
3. 이기론과 동기감응론: 『주자어류』

Ⅶ. 결 론

참고문헌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