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 복식.음식.건축.자기.음악.민족(민속).언어.종교 (알집55코너)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 복식.음식.건축.자기.음악.민족(민속).언어.종교 (알집55코너)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 복식.음식.건축.자기.음악.민족(민속).언어.종교 (알집55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최준식 | 윤지원 | 이춘자 | 허채옥 외 다수
출판사 / 판형 소나무 / 2010년 초판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508쪽
정가 / 판매가 25,000원 / 17,9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매우 깨끗하고 상태 아주 좋음)-거의 보지 않아 새책같음

도서 설명

복식, 음식, 건축, 자기, 음악, 민족(민속), 언어, 종교 여덟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 분야 전문가들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한국과 중국이라는 두 문화를 구체적으로 비교해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원조를 가려내 국가적 자만심을 높이자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문화의 다양성과 미래지향적인 실용성을 제고하자는 것이다.

1부 복식/음식/건축

중국과 사뭇 다른 한국 복식 | 윤지원
1. 우리 옷은 어디서 왔나
2. 한국 복식과 중국 복식
3. 한국 복식의 국속화·한국화
4. 현대 한복 시장의 현황과 디자인 제안
5. 우리 옷의 정체성

닮은 듯 닯지 않은 한국과 중국의 음식 문화 | 이춘자, 허채옥
1. 밥상과 식탁
2. 한국의 음식 문화가 완성되기까지
3. 한·중 음식 문화의 구체적 비교
4. 음식과 문화적 정체성

중국 건축의 규범과 한국 건축의 적응| 이강민
1. 문명의 척도로서의 건축
2. 중국 건축의 규범적 구성
3. 한국 건축에서 규범의 수용과 적응
4. 조선 시대의 중국 건축 인식

1부 복식/음식/건축

중국과 사뭇 다른 한국 복식 | 윤지원
1. 우리 옷은 어디서 왔나
2. 한국 복식과 중국 복식
3. 한국 복식의 국속화·한국화
4. 현대 한복 시장의 현황과 디자인 제안
5. 우리 옷의 정체성

닮은 듯 닯지 않은 한국과 중국의 음식 문화 | 이춘자, 허채옥
1. 밥상과 식탁
2. 한국의 음식 문화가 완성되기까지
3. 한·중 음식 문화의 구체적 비교
4. 음식과 문화적 정체성

중국 건축의 규범과 한국 건축의 적응| 이강민
1. 문명의 척도로서의 건축
2. 중국 건축의 규범적 구성
3. 한국 건축에서 규범의 수용과 적응
4. 조선 시대의 중국 건축 인식
5. 현대 건축의 규범과 한옥

2부 자기/음악

시대를 담은 한·중 자기 문화 | 김윤정
1. 도기와 자기
2. ‘자기 문화’의 시작
3. 고려 시대의 ‘청자 문화’
4. 조선 시대의 ‘백자 문화’
5. 한국 ‘자기 문화’의 특징
6. 중국의 영향과 한국의 발전

한국 음악과 중국 음악, 그 오래된 관계와 오늘 | 송혜나
1. 한국 전통 음악의 형성과 중국 음악
2. 중국 음악의 흐름
3. 중국 음악의 한국 수용
4. 중국 음악의 한국적 변용
5. 음악과 문화 정체성

3부 민족·민속/언어/종교

한·중의 문화적 아이덴티티와 민속 의례 | 최준
1. 전통 문화의 경계
2. 한국과 중국의 민족 개념
3. 한국과 중국의 민속 의례
4. 문화 정체성과 현대사회

한국어와 중국어, 두 천년의 만남 | 양세욱
1. 중국어의 풍경
2.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 접촉
3. 한문과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
4. 고유어를 압도하는 중국어계 한자어
5. 한자와 한글 단상
6. 언어차용과 문화적 다양성

한국의 종교는 중국의 유불선이 아니다! | 최준식
1. 유·불·선의 실체
2. 중국 종교 발달 약사
3. 한국 종교 발달 약사
4. 한국인의 종교 정체성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