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安東 金門 연구(조선후기 안동 김문 연구) (알역57코너)

조선후기 安東 金門 연구(조선후기 안동 김문 연구) (알역57코너)
조선후기 安東 金門 연구(조선후기 안동 김문 연구) (알역57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경구
출판사 / 판형 일지사 / 2007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331쪽
정가 / 판매가 18,000원 / 28,5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 - 낙서, 밑줄, 변색 없이 상태 좋고 깔끔함 / 도서관에서 나온 책이라 측면에 직인, 앞면에 라벨 붙어 있음

도서 설명

**********2007년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안동 김문(장동 김문)은 (신)안동 김씨의 서울 지역 일파이다.19세기 세도정치의 주역인 그들이 세도가문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17~18세기의 정치,사상,문화 활동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은 17,18세기 안동 김문의 성장 과정을 네 가지 방향에서 접근하였다.1장에서는 유력 가문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과 가격(家格) 유지의 기제를 살폈다.본관과 문중 질서,관직 진출,지역성 등이 분석대상이었다.

이를 통해 비록 안동 김문에 국한되지만, 조선후기 유력가문 분석을 위한 제반 틀을 제시하였다.2장,3장,4장은 안동 김문의 정치,사상,문예활동을 다루어,사회구조란 외부 요인과 정치.문화적 능력이란 내부 요인이 서로 밀접하게 작용하였음을 실증하였다. 안동 김문으로 대표되는 조선후기 지도층의 능력과 한계에 대한 연구는 현 사회 지도층의 책무와 도덕적 각성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안동 김문 형성의 기반
1. 안동 김문의 형성과 가문 정비
2. 안동 김문 성장의 구조

제2장 안동 김문의 정치 활동
1. 斥和 활동과 節義의 실현
2. 英祖, 正祖代 안동 김문의 老論義理 정립 노력

제3장 안동 김문의 학풍
1. 家學과 洛論의 형성
2. 洛論 심화와 영향력 확대

제4장 문물 수용론과 文藝 활동
1. 대외 인식과 문물 수용론
2. 文壇과 藝壇 활동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