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학과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 태암 황의동교수 정년기념논총 (동코너)

저자 | 태암 황의동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
---|---|
출판사 / 판형 | 책미래 / 2014년 |
규격 / 쪽수 | 150*225 (보통책 크기) / 1160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상급(하드커버)-새책 / 새책인데 앞표지 상단 귀퉁이 약간 짓눌림 흔적 있음
도서 설명
축 사
台巖 黃義東 敎授 停年 祝賀
태암 황의동교수 이력 및 연구실적
제1부 율곡학의 철학적 지평
율곡에 있어서 궁극자(窮極者)와 궁극적 관심
이상익(부산교육대학교 교수)
율곡 이이의 사단과 칠정
김경호(전남대 인문한국교수)
율곡의 교기질(矯氣質) 수양론의 특징
리홍군(중국 연변대학교 교수)
율곡 인간관의 미학적 고찰
박광희(혜천대학교 교수)
율곡의 무실사상에 관한 연구
맹현주(강원대 철학과 강사)
율곡의 정치사상과 그 영향
최정묵(충남대 철학과 교수)
율곡의 중화사상과 현대사회의 리더십
김문준(건양대학교 교수)
율곡 기자실기의 화이론 연구
유성선(강원대 철학과 교수)
수양의 관점에서 본 율곡의 순언(醇言)이해
이선경(성균관대 강사)
제2부 한국사상의 원형과 고려유학
한국 사상의 철학적 특성
송재국(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한국고대신목신앙에 대한 역철학적 고찰
이선행(공주교육대학교 강사)
최치원의 풍류사상 이해와 그 기반
최영성(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목은(牧隱) 시대정신의 철학적 기반
최영진(성균관대 한국철학과 교수)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정정(靜定)공부와 지선론(止善論)
곽신환(숭실대 철학과 교수)
서하(西河) 임춘(林椿)의 철학사상
임병학(충남대 철학과 강사)
제3부 한국성리학의 철학적 전개
김굉필(金宏弼)의 인물과 사상
최영찬(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고봉 기대승의 윤리관
변원종(한남대 강의전담교수)
구봉우계율곡의 도의지교(道義之交)와
학문교유(學問交遊)
김창경(충남대 철학과 강사)
우계의 거경궁리(居敬窮理)의 심학사상
김세정(충남대 철학과 교수)
우계와 율곡의 화이부동의 삶과 수양론
이영자(충남대 철학과 강사)
예송기 이유태의 왕조례 예설과 예사상
한기범(한남대 사학과 교수)
박필주의 양명학 비판에 대한 고찰
김승영(충남대 철학과 강사)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대학(大學)관과 인간이해
민황기(청운대 교양학부 교수)
주체와 도덕의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
진가(眞假)담론Ⅰ
이진경(충남대 철학과 강사)
제4부 한국사상의 다양성과 근.현대의 만남
사명당 유정의 승병활동과 공공행복
김방룡(충남대 철학과 교수)
이충익(李忠翊)의 노자관
민홍석(충남대 철학과 강사)
동학의 생명원리와 생명윤리
이정희(전 공주대 객원교수)
단재 신채호의 근대정신
이재권(충북대 사회교육학과 교수)
도산 안창호의 무실사상
황수영(충남대 철학과 강사)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국과 베트남의 사상 경향
김성범 (베트남 사회과학한림원 철학원)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 조선유학 이해의 허와 실
리기용(연세대 철학과 교수)
한국 종가 문화의 특징과 의의
이종성(충남대 철학과 교수)
한국인이 본 좋은 죽음의 문제와 유학의 죽음관
김명숙(충남대 철학과 강사)
충남유교문화 자원의 활용방향
이해준(공주대 사학과 교수)
장사시설에서의 제의례(祭儀禮) 시행 모델 시안
양무석(대전보건대 장례지도학과 교수)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