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예교와 시민 윤리 (동22코너)

전통 예교와 시민 윤리 (동22코너)
전통 예교와 시민 윤리 (동22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한형조 외 지음
출판사 / 판형 청계 / 2002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340쪽
정가 / 판매가 13,000원 / 7,5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매우 깨끗하고 상태 아주 좋음)

도서 설명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크게 세 파트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예교의 원리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다. 최진덕의 <유학의 정신과 禮의 본질>과 한형조의 <전통 禮의 원리와 기능>이 여기에 속한다. 최진덕은 유학의 아버지중심주의적 근본정신에 의거해서 예교가 본질적으로 어떤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한형조는 보다 포괄적으로 예교의 본질에 대해 논의하면서 예교의 문제를 현대적인 문제와 연결시키고 있다. 두 번째는 조선조 예교의 전개에 관한 사상사적 논의이다. 고영진의 <조선 시대 예치의 형성과 구조>와 정일균의 <실학적 禮 개념의 내용과 그 성격: 다산 정약용의 견해를 중심으로>가 여기에 속한다.
 
고영진은 조선조 주자학의 예학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압축적으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정일균은 주자학을 극력 비판했던 다산 정약용을 중심으로 실학적 예교가 어떤 것인지를 규명하고 있다. 앞의 두 파트에 속하는 네 편의 글이 주로 전통 예교에 대한 회고적 반성에 치중하고 있다면, 세 번째는 전통 예교를 현대 사회에 접목시키는 쪽에 치중하고 있는 보다 미래지향적인 논의이다.
 
박연호의 <유가적 예교의 원리와 서구의 도덕교육 이론>과 한도현의 <예교의 사회 원리와 시민 윤리>가 여기에 속한다. 박연호는 小學 교육이 어떤 것인지 살펴보면서 교육학자의 입장에서 그것을 의무의 윤리학에 대비되는 덕의 윤리학과 비교하고 있다. 한도현은 사회학자답게 유학의 예교로부터 개인의 자율성과 개인들간의 유대가 동시에 보장되는 감응적 커뮤니티의 가능성을 찾고 있다

 

목차

전통 예의 원리와 기능. 한형조 ...15
유학의 정신과 예의 본질. 최진덕 ...49
조선 시대 예치의 형성과 구조. 고영진 ...131
실학적 '예' 개념의 내용과 그 성격. 정일균 ...171
유가적 예교의 원리와 서구의 도덕교육 이론. 박연호 ...207
예교의 사회 원리와 시민 윤리. 한도현 ...289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