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기한글역주 - 동방고전한글역주대전 (알한3코너)

저자 | 도올 김용옥 |
---|---|
출판사 / 판형 | 통나무 / 2009년 1판1쇄 |
규격 / 쪽수 | 180*250 / 416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 - 새책 / 보관 케이스 있음
도서 설명
800년간의 근세 동아시아역사의 사상적 기저를 총체적으로 점검하면서 <대학>이라는 책이 성립된 배경을 방대한 선진고경 맥락 속에서 연구한 책. 도올은 <대학>의 독창적인 분장을 시도하였을 뿐 아니라, <대학>과 같이 논의되어야 할 <학기>를 새로운 교육철학으로써 제시하고 있다.
우리 민족이 800여 년 동안 존숭해 온 경전은 <집주대학>으로서, 남송의 학자 주희가 재편집하고 보전을 첨가한 것이다. 따라서 의미의 왜곡이 발생했다고 한다. 도올은 이 책에서 <대학>의 원래 모습을 복원하고 새롭게 분장하여 주자학과는 전혀 다른 시각에서 그 의미와 성립정황을 분석하고 있다.
해설부문 『대학』의 바른 모습을 캐다(原大學之正) 제1장 한유(韓愈)의 『대학』 발견 제2장 이고(李?)의 『대학』 해석 제3장 사마광의 「치지재격물론致知在格物論」 역주 제4장 정현(鄭玄)에서 주희까지 격물 해석의 변천 제5장 주희의 격물론(格物論)과 치지론(致知論) 제6장 정주(程朱)의 경· 전(經傳)체제 날조 제7장 왕양명(王陽明)의 고본대학론 제8장 왕양명 「대학고본서大學古本序」 역주 제9장 왕양명 「대학문大學問」 역주 제10장 타케우찌(武內義雄)의 『대학』성립시기론 제11장 『대학』과 순자학파 제12장 『대학』과 『여씨춘추』 제13장 『대학』과 『맹자』 제14장 『대학』의 핵, 수신(修身) 번역부문 1. 『존사尊師』 第一章 十聖六賢尊師 第二章 是謂善學 第三章 由學爲天下名士 第四章 辨說論道 第五章 謹養之道 第六章 成身爲天下正 第七章 天子入太學 2. 『학기學記』 第一章 總論: 化民成俗 第二章 敎學相長 第三章 小成大成 第四章 敎之大倫 第五章 大學之敎 第六章 歎敎之不刑 第七章 大學之法: 豫?時?孫?摩 第八章 敎之所由廢 第九章 善喩: 和?易?思 第十章 學者四失 第十一章 善歌善敎 第十二章 師無北面 第十三章 進學之道: 善問善答 第十四章 人師必聽人語 第十五章 務本: 大道不器 3. 『대학大學』 第一章 總綱 第二章 本末終始 第三章 明明德於天下與知本 第四章 誠意與愼獨 第五章 切差道學 琢磨自修 第六章 天命日新 第七章 知其所止 第八章 使無訟是知本 第九章 修身在正其心 第十章 齊其家在修其身 第十一章 治國必先齊其家 第十二章 反其所好 民不從 第十三章 宜其家人 可敎國人 第十四章 平天下在治其國: ?矩之道 第十五章 得衆得國 德本財末 第十六章 君子有大道 第十七章 生財有大道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