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어서화 - 선림고경총서 3

동어서화 - 선림고경총서 3
동어서화 - 선림고경총서 3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백련선서간행회
출판사 / 판형 장경각 / 불기 2532년 초판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88쪽
정가 / 판매가 0원 / 13,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상태 좋으나 본문 볼펜 밑줄 15페이지 정도 있음

도서 설명

여기에 번역된「동어서화」는 「광록」제 18, 19, 20권에 해당한다. 저본으로는 빈가장경(頻伽藏經)을 사용했고, 광서 신사(光緖辛巳: 1881)년에 고소각경처(姑蘇刻經處)에서 간행된 판본을 참고로 하였다.
선풍(禪風)은 날로 쇠퇴해가고 신심은 더욱 얕아져가는 시절에 달마스님의 바로 가르키는 선[直指之禪]을 종(宗)으로 삼아, 돈오돈수(頓悟頓修) 사상을 널리 폈다. 또한 유생(儒生)들의 불교비난에 대해서도 근거있고 설득력있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원각경]을 소재로 한 법문에서는 스님의 교학에 대한 깊이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더구나 이 책에는 중봉스님 자신이 밝혀 놓은 행장(行狀)이 있어 인물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목차

東語西話 上
마음이 부처라는 말의 참뜻은 무엇인가?
생사대사가 왜 중요한가?
환법의 정체란 무엇인가?
말로써 성품을 깨칠 수 있는가?
병고가 양약이 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사찰을 잘 보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복과 재앙의 근본은 무엇인가?
모든 곳에 도가 있다는 뜻은 무엇인가?
인연이란 무엇인가?
근본적인 수행의 태도는 무엇인가?
불법에 깊고 얕음이 있는가?
시비를 따지는 이유가 무엇인가?
공(空)·가(假)·중(中) 3제(三諦)의 뜻은 무엇인가?
애증심으로 도를 깨칠 수 있는가?

東語西話 下
불교의 비방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불신이 법계에 충만하다는 뜻이 무엇인가?
법신의 참뜻은 무엇인가?
백장 선림청규가 바로 가리키는 도에 어긋나는가?
자심의 현량(現量)이란 무엇인가?
시비를 가리는 마음은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가?
내가 살아온 길[天目中峯]

東語西話 續集 上
별전인 선은 교와 다른가?
방편은 깨달음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가?
교화의 성쇠는 무엇에 달렸는가?
선가에서는 왜 의미없는 말들을 사용하는가?
평상심이 도라고 하는 말뜻은 무엇인가?
반야의 정체는 무엇인가?
지관(止觀)의 참뜻은 무엇인가?

東語西話 續集 下
견해와 병통[見病]은 무엇인가?
이치는 둘이 아니라고 하는 참뜻은 무엇인가?
재량을 키운다는 것이 무엇인가?
마음의 도량과 복은 어떤 관계인가?
요즈음은 불법이 왜 옛날처럼 흥성하지 않는가?
총림의 말뜻은 무엇인가?
예법과 도는 어떤 관계인가?
도를 닦으려면 어떤 자세가 필요한가?
윤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사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중생들은 왜 범부짓을 하는가?
공요없는 삼매는 무엇인가?
왜 정진력을 길러야 하는가?
도를 닦는 것과 외부의 조건은 어떤 관계인가?
도에 쉽고 어려움이 있는가?
도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옛사람의 말을 따라도 되는가?
시절인연 때문에 깨닫기 어려운가?
조사의 화두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지난날의 업을 어떻게 관찰해야 하는가?
어떻게 시비를 벗어날 수 있는가?
방편에는 해로움이 없는가?
구도의 자세는 무엇인가?
출가자도 편안함을 누릴 수 있는가?
올바른 정진의 태도는 어떤 것인가?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