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철학의 흐름 - 공자에서 다시 공자까지 (알동38코너)

중국철학의 흐름 - 공자에서 다시 공자까지 (알동38코너)
중국철학의 흐름 - 공자에서 다시 공자까지 (알동38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임태승
출판사 / 판형 학고방 / 2005년 초판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415쪽
정가 / 판매가 25,000원 / 12,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 - 간단한 볼펜 밑줄 4-5곳 있으나 전체적으로 상태 아주 좋고 깨끗함

도서 설명

머리말

1. 중국철학은 어떤 단계로 발전해 나갔을까
2. 중국철학의 네 가지 특징
3. “음양·오행”설은 어떻게 이루어 졌나
4. 중용과 인을 강조한 공자사상
5. 백성이 임금보다 귀하다고 말한 맹자
6. 인성에 관한 맹자와 고자의 논쟁
7.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8. 유가에서 말하는 경도와 권도는 무엇인가
9. 도가에서 말하는“도”는 무엇인가
10. 장자는 어떠한 인생관을 가졌을까
11. 선진시기 철학의 두 쟁점: 천인과 의리
12. 선진철학을 집대성한 순자
13. 유가사상과 묵가사상은 어떻게 다를까
14. 유가사상과 도가사상은 어떻게 다를까
15. 법가에서 말하는 형명과 법술
16. 대일통 사상의 유래와 의미
17. 유학을 신학화한 한대철학
18. 위진현학에서의 명교와 자연과의 관계
19. 불교의 중국전래 후 중국철학에 끼친 영향
20. 선종의 사상적 특징은 무엇인가
21. 당대철학: 한유와 이고의 사상
22. 성리학에서 말하는 이기란 무엇인가
23. 주돈이와 소옹의 철학적 입장
24. 장재의 철학과 정호·정이의 철학
25. 이학을 집대성한 주희
26. 이학의 인식론: 격물궁리·격물치지
27. 진량과 주희의 왕패·의리에 관한 논쟁
28. 심학이란 사상이 말하려는 것은 무엇인가
29. 육구연의 심학이 이학과 다른 점
30. 왕수인이 지행합일을 주장한 까닭
31. 송명 이학가들은“이일분수”설을 어떻게 이해하였을까
32. 송명 이학기들의 이욕에 관한 논쟁은 무엇인가
33. 중국고대철학을 총결한 왕부지
34. 명·청 교체기에 등장한“경세치용”은 무엇인가
35. 청대 철학: 대진의 사상
36. 근대중국의 사유세계는 어떠하였을까
37. 중국철학은 유럽근대계몽운동에 무슨 영향을 주었나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