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불14코너)

중국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불14코너)
중국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불14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주경미
출판사 / 판형 일지사 / 2003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522쪽
정가 / 판매가 30,000원 / 22,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새책

도서 설명

머리말

Ⅰ. 서론 9

Ⅱ. 불사리장엄(佛舍利莊嚴)의 기원
1. 불사리의 개념 14
2. 인도의 불사리장엄 21
3. 불사리신앙의 전래 42

Ⅲ. 중국 고대의 불사리장엄 방식
1. 장엄 방식 45
2. 장엄구의 유형 52

Ⅳ.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1. 불사리의 신이(神異) 60
2. 문헌상의 불사리장엄 68
3. 현존하는 불사리장엄구 81

Ⅴ. 수대(隋代)
1. 수문제(隋文帝)의 인수사리기(仁壽舍利器) 관련 문헌 96
2. 현존하는 수문제(581∼604) 연간의 불사리장엄구 118
3. 현존하는 양제(煬帝, 605∼616) 연간의 불사리장엄구 148

Ⅵ. 당대 전기(唐代前期, 7세기 전반∼8세기 중반)
1. 측천무후기(則天武后期)의 황실 발원 불사리장엄 161
2. 현·숙종기(玄·肅宗期)의 황실 발원 불사리장엄 192
3. 민간 발원의 불사리장엄 220
4. 승사리장엄 238

Ⅶ. 당대 후기(唐代後期, 8세기 후반∼10세기 전반)
1. 문헌상의 황실 발원 불사리 공양 246
2. 법문사(法門寺)의 불사리장엄구 258
3. 민간 발원의 불사리장엄 306
4. 승사리장엄 326
5. 오대(五代)의 불사리장엄 333

Ⅷ.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의 특징
1. 불사리신앙 342
2. 불사리장엄의 발원자와 제작자 350
3. 불사리장엄구의 제작 기법 364
4. 불사리장엄구의 표면 장식 385
5. 불사리장엄구에 보이는 서역의 영향 392

Ⅸ. 한국에 미친 영향
1. 삼국시대 397
2. 통일신라 407
3. 발해 428

Ⅹ. 결론 437

참고문헌 444
부록 1 : 남북조시대의 사리 신이 고사 465
부록 2 : 인수사리 목록표(仁壽舍利目錄表) 474
부록 3 : 현존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구 목록 481
부록 4 :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구의 유형 496
도판목록 498
찾아보기 515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