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수록 재미있는 그리스도교 이야기 1 - 중세 철학의 전문가 박승찬 교수가 들려주는 (나91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책소개
책소개
서양의 문화, 역사, 철학에서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그리스도교 인문 교양서. 평화방송 TV와 라디오에서 인기리에 방송된 <그리스도교, 서양 문화의 어머니>라는 강좌를 엮었다. 가톨릭대학교 교수이자 중세 철학의 전문가인 박승찬 교수는 서양의 문화, 역사, 철학을 통해 그리스도교의 흐름을 생생하게 풀어 준다.
1권에서는 그리스도교가 생겼을 때부터 수도회가 설립될 때까지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 그 과정을 다룬다. 저자는 다소 딱딱할 수도 있는 내용을 예화와 비유를 들며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한다. 또한 글과 연관된 그림, 사진, 지도 등을 수록하여 독자들이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스도교에 대한 기초 지식을 알려 줄 뿐만 아니라, 그렇게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더 넓은 시야를 지니고, 더욱 의미 있는 신앙생활을 하도록 이끌어 줄 것이다.
목차
목차
들어가는 말 그리스도교와 세상과의 진솔한 대화 · 5
제1강 그리스도교의 태동과 최초의 토착화 과정
초기 그리스도교에 대한 박해 · 23 | 박해를 피해 숨어든 카타콤베 · 26 |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로마인들의 오해 · 28 | 최초의 토착화를 시도한 바오로 사도 · 30 | 호교론자 유스티누스 · 33
제2강 이단의 발생과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한 저항
정신적인 원리를 중요시한 영지주의 · 40 | 신약의 하느님만 받아들인 마르키온 이단 · 45 | 여러 종교의 이론이 모인 마니교 · 49 | 순수한 믿음을 강조한 테르툴리아누스 · 52
제3강 그리스-로마 문화의 수용을 통한 토착화
그리스-로마 문화의 새로운 중심지, 알렉산드리아 · 62 | 고대의 서적 제작 방법 · 65 |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태동 · 69 | 그리스 철학의 수용을 주장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70 | 열정적이었던 그리스 신학자, 오리게네스 · 72
제4강 콘스탄티누스 대제를 통해 얻은 신앙의 자유
로마 제국의 확장과 4분령 통치 · 82 |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성장 배경 · 83 | 밀비우스 전투에서 승리한 콘스탄티누스 · 86 | 그리스도교에 자유를 선사한 밀라노 칙령 · 91 | 로마 제국의 새로운 수도, 콘스탄티노플 · 93
제5강 함께 고백하는 신앙
그리스도교가 바치는 신앙 고백의 형성 · 103 | 니체아 공의회와 아리우스 이단의 등장 · 104 | 니체아 공의회 이후의 혼란 · 109 | 성령론의 발전에 기여한 카파도키아의 세 교부 · 111 | 신앙심 깊은 가정에서 자라난 바실리우스 · 113 | 수도 공동체를 창설한 바실리우스 · 115 | 바실리우스의 왕성한 활동 · 117 |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의 성품과 활동 · 119 | 뛰어난 철학자이자 영성가인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122
제6강 그리스도교 신앙 고백의 완성
4대 보편 공의회가 열린 장소와 그리스도교 초기의 주요 교회 · 125 | 성령론을 확정한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129 | 니체아-콘스탄티노플 신경과 사도신경 · 132 |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둘러싼 논쟁 · 134 | 성모 마리아의 명칭을 둘러싼 네스토리우스 논쟁 · 137 | 에페소 공의회와 칼체돈 공의회 · 141
더보기
들어가는 말 그리스도교와 세상과의 진솔한 대화 · 5
제1강 그리스도교의 태동과 최초의 토착화 과정
초기 그리스도교에 대한 박해 · 23 | 박해를 피해 숨어든 카타콤베 · 26 |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로마인들의 오해 · 28 | 최초의 토착화를 시도한 바오로 사도 · 30 | 호교론자 유스티누스 · 33
제2강 이단의 발생과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한 저항
정신적인 원리를 중요시한 영지주의 · 40 | 신약의 하느님만 받아들인 마르키온 이단 · 45 | 여러 종교의 이론이 모인 마니교 · 49 | 순수한 믿음을 강조한 테르툴리아누스 · 52
제3강 그리스-로마 문화의 수용을 통한 토착화
그리스-로마 문화의 새로운 중심지, 알렉산드리아 · 62 | 고대의 서적 제작 방법 · 65 |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태동 · 69 | 그리스 철학의 수용을 주장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70 | 열정적이었던 그리스 신학자, 오리게네스 · 72
제4강 콘스탄티누스 대제를 통해 얻은 신앙의 자유
로마 제국의 확장과 4분령 통치 · 82 |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성장 배경 · 83 | 밀비우스 전투에서 승리한 콘스탄티누스 · 86 | 그리스도교에 자유를 선사한 밀라노 칙령 · 91 | 로마 제국의 새로운 수도, 콘스탄티노플 · 93
제5강 함께 고백하는 신앙
그리스도교가 바치는 신앙 고백의 형성 · 103 | 니체아 공의회와 아리우스 이단의 등장 · 104 | 니체아 공의회 이후의 혼란 · 109 | 성령론의 발전에 기여한 카파도키아의 세 교부 · 111 | 신앙심 깊은 가정에서 자라난 바실리우스 · 113 | 수도 공동체를 창설한 바실리우스 · 115 | 바실리우스의 왕성한 활동 · 117 |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의 성품과 활동 · 119 | 뛰어난 철학자이자 영성가인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122
제6강 그리스도교 신앙 고백의 완성
4대 보편 공의회가 열린 장소와 그리스도교 초기의 주요 교회 · 125 | 성령론을 확정한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129 | 니체아-콘스탄티노플 신경과 사도신경 · 132 |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둘러싼 논쟁 · 134 | 성모 마리아의 명칭을 둘러싼 네스토리우스 논쟁 · 137 | 에페소 공의회와 칼체돈 공의회 · 141
제7강 라틴어로 강생한 말씀
성경의 형성 과정 · 154 | 성경의 순서 및 정경의 확정 · 158 | 최초의 라틴어 성경, 《베투스 라티나》 · 163 | 최고의 성경 번역가, 히에로니무스와 《불가타》 · 165 | 성경을 이해하는 방법 · 173
제8강 흔들리는 로마 제국과 눈물로 키운 신앙
아우구스티누스의 탄생과 성장 · 178 | 어린 시절 방황한 아우구스티누스 · 182 | 지혜를 찾으려다가 성경에 실망한 아우구스티누스 · 188 | 마니교에 심취한 아우구스티누스 · 192 | 회의론에 빠진 아우구스티누스 · 197
제9강 멘토와의 만남을 통한 신앙의 성장
밀라노에서 이루어진 신플라톤주의와의 만남 · 206 | 밀라노에서 만난 최고의 멘토, 암브로시우스 · 214 | 세속적인 성공에도 불행했던 아우구스티누스 · 220 | 아우구스티누스의 극적인 회심 · 222 | 모니카의 눈물과 되찾은 영적인 기쁨 · 225
제10강 그리스도교 최고의 스승, 아우구스티누스
타가스테의 수도 공동체 · 233 | 히포의 주교, 아우구스티누스 · 238 |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요 작품 · 244 | 신플라톤주의와 그리스도교 · 248 | 진정한 행복 찾기 · 251 | 사랑의 윤리 · 253
제11강 하느님의 나라, 땅의 나라
향유와 사용 · 259 | 교회와 성사에 관한 도나투스파와의 논쟁 · 262 | 은총과 자유에 관한 펠라지우스와의 논쟁 · 265 | 《신국론》의 집필 배경 · 268 | 낡은 사람과 새 사람의 구분 · 271 | 하느님의 나라와 땅의 나라의 구분 · 273
제12강 서로마 제국의 몰락과 동방 교회의 분리
게르만족 문화의 특성 · 285 | 로마 최후의 철학자, 보에티우스 · 295 | 보에티우스가 제안한 ‘인격’에 대한 정의 · 302 | 동로마 제국의 황금기,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 305 |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인 게르만족 · 307
제13강 기도하고 일하라
수도 생활의 형태와 유래 · 312 | 공주共住 수도회의 등장 · 317 | 베네딕투스의 생애와 활동 · 319 | 수도회의 진정한 역할 · 340
미주 · 344
색인 · 357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