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왕을 꾸짖다 - 상소로 보는 역사 이야기 (알역8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책소개
우리나라 역사상 유명하고 중요한 상소를 골라 해설과 함께 엮은 책이다. 상소는 왕에게 보여주는 문서일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소를 쓰는 것은 큰 지혜를 요하는 일로서 왕이 듣고 싶어 하거나 듣기 좋아하는 내용이 담겨져야 하는 것은 물론 듣고 싶어 하지 않거나 듣기 싫어하는 내용도 포함되어야 했다.
좋은 일을 고하는 일은 누구나 다 할 수 있고, 또 하고 싶어 하는 일이다. 그러나 나쁜 일을 고할 때에는 왕으로 하여금 듣게 해야 하는 동시에 글을 올린 자신이 왕의 화풀이 대상이 되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했으니 그 자체가 하나의 큰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상소를 통해 임금에게 문제제기를 함으로써 역사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한 상소문들이 있다.
열다섯 살 난 평안도 기생 초월이 백성들의 고통을 보다 못해 시대의 폐단과 임금의 잘못을 생생하게 적어 올린 상소, 어린 임금에게 치국의 방책을 올린 퇴계 이황의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나 율곡 이이의 '만언봉사萬言封事'처럼 그들이 민족의 성인으로 추앙받는 이유를 그 일단이나마 살펴볼 수 있으며 이들 상소문을 통해 당시의 역사를 생생하게 엿볼 수 있다. 마지막 부록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중국과 일본에 보냈던 사대하는 표(表)와 소(疏), 그리고 국서를 소개한다.
목차
서문
1.〈상진평왕서(上眞平王書)〉-김후직(金后稷)
2.〈화왕계〉-설총(薛聰)
3.〈지부상소(持斧上疏)〉 -우탁(禹倬)
4.〈황제시여 제발 고려에서 어린 소녀들을 빼앗아오지 마십시오〉-이곡(李穀)
5.〈언문(諺文) 창제의 부당함을 아뢰옵니다〉-최만리(崔萬理)
6.〈북방 경비에 대한 열 가지 방책(備邊十策)〉-양성지(梁誠之)
7.〈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이황(李滉)
8.〈을묘사직소(乙卯辭職疏)〉-조식(曺植)
〈정묘년에 사직하면서 승정원에 올린 상소문(丁卯辭職呈承政院狀)〉-조식(曺植)
〈무진봉사(戊辰封事)〉-조식(曺植)
9.〈노릉(魯陵)을 복위시키고 사육신을 복작시키며 종친을 서용하기를 청합니다〉-김성일(金誠一)
10.〈만언봉사萬言封事〉-이이(李珥)
11.〈지부상소(持斧上疏)〉-조헌(趙憲)
12.〈진오폐소(陳五弊疏)〉-신봉석(申鳳錫)
13.〈관기 초월의 상소〉-초월(楚月)
14.〈화의(和議)를 배척하는 소〉-최익현(崔益鉉)
〈병인의소(丙寅擬疏)〉-최익현(崔益鉉)
15.〈을사보호조약에 분개합니다〉-곽종석(郭鍾錫)
〈한일협상조약을 맺은 대신들을 처벌하십시오〉-곽종석(郭鍾錫)더보기
서문
1.〈상진평왕서(上眞平王書)〉-김후직(金后稷)
2.〈화왕계〉-설총(薛聰)
3.〈지부상소(持斧上疏)〉 -우탁(禹倬)
4.〈황제시여 제발 고려에서 어린 소녀들을 빼앗아오지 마십시오〉-이곡(李穀)
5.〈언문(諺文) 창제의 부당함을 아뢰옵니다〉-최만리(崔萬理)
6.〈북방 경비에 대한 열 가지 방책(備邊十策)〉-양성지(梁誠之)
7.〈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이황(李滉)
8.〈을묘사직소(乙卯辭職疏)〉-조식(曺植)
〈정묘년에 사직하면서 승정원에 올린 상소문(丁卯辭職呈承政院狀)〉-조식(曺植)
〈무진봉사(戊辰封事)〉-조식(曺植)
9.〈노릉(魯陵)을 복위시키고 사육신을 복작시키며 종친을 서용하기를 청합니다〉-김성일(金誠一)
10.〈만언봉사萬言封事〉-이이(李珥)
11.〈지부상소(持斧上疏)〉-조헌(趙憲)
12.〈진오폐소(陳五弊疏)〉-신봉석(申鳳錫)
13.〈관기 초월의 상소〉-초월(楚月)
14.〈화의(和議)를 배척하는 소〉-최익현(崔益鉉)
〈병인의소(丙寅擬疏)〉-최익현(崔益鉉)
15.〈을사보호조약에 분개합니다〉-곽종석(郭鍾錫)
〈한일협상조약을 맺은 대신들을 처벌하십시오〉-곽종석(郭鍾錫)
16.〈사직상소(辭職上疏)〉-유길준(兪吉濬)
17.〈한일합방성명서〉-이용구(李容九)
〈한일합방을 건의하는 상소〉-이용구(李容九)
부록
사대(事大)하는 표(表)와 소(疏)
인국(隣國)에 준 국서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