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의 의미와 해석 - 석학인문강좌 31 (알집20코너)

이야기의 의미와 해석 - 석학인문강좌 31 (알집20코너)
이야기의 의미와 해석 - 석학인문강좌 31 (알집20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서대석 (지은이)
출판사 / 판형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1년 1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96쪽
정가 / 판매가 19,000원 / 16,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본서는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에서 ‘이야기의 구조와 의미’를 주제로 하여 진행한 강의의 원고를 재정리하여 엮은 것이다. 어린이들의 그림책에 이야기가 수용되어 있고 초등학교 교과서에 더러 옛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으나 중등학교로 오면서는 주로 창작문학 작품을 배우게 되어 옛이야기를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 이런 점을 생각하여 우리 이야기를 청소년과 성인을 포함한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기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특히 주요 옛이야기의 구조와 의미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선인들의 삶의 자세와 의식의 심층을 헤아려 보고자 하였다.

목차

목차

_책머리에·5

제1장 | 이야기의 특성과 분류
1. 이야기의 특성·15
1) 구비문학적 특성·17 | 2) 서사문학적 특성·19 | 3) 산문적 특성·22
4) 문학이라는 특성·23
2. 이야기의 분류·24
1) 신화, 전설, 민담의 3분법·25 | 2) 2분법·27 | 3) 한국설화 분류안·30
3. 단위담의 설정과 분류·42
1) 단위담 분류론의 의의·42 | 2) 단위담의 설정·43 | 3) 이야기의 요소와 분류항·46
4) 단위담의 유형·56
4. 이야기의 전승과 변이·58
1) 이야기의 생리와 전승·58 | 2) 변이의 동인·63

제2장 | 신화적 유형에 담긴 세계관
1. 해와 달 이야기·69
1) 창세신화·69 | 2) 인류시원신화·76 | 3) <해와 달이 된 오누이>·79
4) 연오랑 세오녀·82 | 5) 해와 달 이야기의 배경사상·88
2. 일월노리푸념과 유사설화·90
1) 일월노리푸념·90 | 2) 예성강·92 | 3) 도미·94 | 4) 우렁각시·98더보기

_책머리에·5

제1장 | 이야기의 특성과 분류
1. 이야기의 특성·15
1) 구비문학적 특성·17 | 2) 서사문학적 특성·19 | 3) 산문적 특성·22
4) 문학이라는 특성·23
2. 이야기의 분류·24
1) 신화, 전설, 민담의 3분법·25 | 2) 2분법·27 | 3) 한국설화 분류안·30
3. 단위담의 설정과 분류·42
1) 단위담 분류론의 의의·42 | 2) 단위담의 설정·43 | 3) 이야기의 요소와 분류항·46
4) 단위담의 유형·56
4. 이야기의 전승과 변이·58
1) 이야기의 생리와 전승·58 | 2) 변이의 동인·63

제2장 | 신화적 유형에 담긴 세계관
1. 해와 달 이야기·69
1) 창세신화·69 | 2) 인류시원신화·76 | 3) <해와 달이 된 오누이>·79
4) 연오랑 세오녀·82 | 5) 해와 달 이야기의 배경사상·88
2. 일월노리푸념과 유사설화·90
1) 일월노리푸념·90 | 2) 예성강·92 | 3) 도미·94 | 4) 우렁각시·98
5) 일월노리푸념의 가정신화적 성격·101

제3장 | 전설적 유형에 나타난 인간관과 민족의식
1. 장자못 전설·113
1) 장자못 전설에 나타난 인간관·113 | 2) 몽골설화 <사냥꾼 카리이프>와 비교·118
2. 천자(天子)전설·122
1) 명태조 전설·124 | 2) 청태조 전설·138 | 3) 야래자설화의 신화적 성격·146
4) 청태조 전설과 삼천녀 전설·159 | 5) 한천자 전설과 명태조 전설·163
6) 천자전설에 나타난 민족의식·174
3. 금척전설과 치병척 설화·179
1) 금척전설·179 | 2) 치병척 설화―대길몽 설화·183 | 3) 신화에서 민담으로의 변모·186

제4장 | 민담의 의미와 해석
1. 호랑이 이야기·192
1) 호랑이 형님·192 | 2) 포수와 호랑이·201 | 3) 호랑이와 곶감·209
2. 구렁이 이야기·213
1) 구렁덩덩신선비·213 | 2) 네모난 구슬·237 | 3) 종소리·243
4) 구렁이와 지네의 승천다툼·262

제5장 | 소화와 재담에 나타난 웃음과 재치
1. 소화의 특성과 웃음이론·277
1) 소화, 재담, 웃음·277 | 2) 웃음 이론·284
2. 소화를 통해 본 웃음의 성격·297
1) 동물적 속성의 발현―비천함의 모방·299 | 2) 지적(知的) 우월감의 인식―무식담·306
3) 기계적 경직성·313 | 4) 망각담·317 | 5) 모방담·322
3. 재담의 기법과 재치·346
1) 어희담·346 | 2) 문자담·355 | 3) 재담의 문학적 의의·364

_찾아보기·373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