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 호랑이의 체취를 맡았다 - 퇴옹성철, 이 뭣고? (나4코너)

가야산 호랑이의 체취를 맡았다 - 퇴옹성철, 이 뭣고? (나4코너)
가야산 호랑이의 체취를 맡았다 - 퇴옹성철, 이 뭣고? (나4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서명원 (지은이)
출판사 / 판형 서강대학교출판부 / 2014년 초판2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00쪽
정가 / 판매가 16,000원 / 14,4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예수회의 사제로서, 지난 2004년 '퇴옹성철 선사의 생애 및 전서'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프랑스 파리 7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서강대 종교학과 서명원 교수가 지난 20여 년간 성철 스님을 연구하며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였던 논문 가운데 6편을 선별하여, 일반 독자들도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몇 번씩 고쳐서 출간하였다.

퇴옹성철을 연구할 때, 테크닉에 있어서는 종교학 방법론에서 사용하는 환원주의적이고 분석적인 방법을 채택한 저자는 종교학자들이 종교의 본질이 무엇인지 정의하기 위해 '그것의 부재로써 종교가 성립되지 못하는 바로 그것'을 찾아 가듯, '그것이 없을 때 성철 스님의 생애 및 전서가 성립되지 않는 바로 그것은 과연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지속적으로 자문해 왔다.

이 책에 실린 6편의 글은 이러한 연구의 일부로써 각기 뚜렷한 주제를 나타내면서도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며 더 큰 그림의 일부로 상호 작용하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성철 스님을 넓고 깊은 안목으로 만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한편 불교, 나아가 종교의 목적과 역할도 새롭고 풍요로운 시각에서 사고할 수 있는 길에 대하여 조심스럽게 제안한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6
일러두기 12

서론-성철 스님을 바라보는 여섯 장(章)의 모자이크 그림 21

제 1 부 돈점논쟁(頓漸論爭) 그리고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

제 1 장 <선문정로(禪門正路)>에 나타난 선종의 전통에 대한 인식 31

선 수행(禪 修行)의 바른 길 31
성철 스님의 언어관(言語觀)-손가락과 달 34
<선문정로>의 구조(構造) 및 구성요소(構成要素) 37
가. 돈오점수를 반박하기 위한 전체 구조 37
나. 돈오돈수를 강조하기 위한 각 장의 구조 41
다. <선문정로>의 구성요소: 인용된 경론(經論) 조사어록(祖師語錄)
과 저자(著者) 42
성철 스님의 인용 방법에 나타난 창과 방패 47
<돈황본 육조단경>과 <선문정로> 51
전통에 대한 비타협성(非妥協性)과 배타성(排他性) 55
간화선수행-돈오돈수 체득을 위한 필수 수단 58더보기

책머리에 6
일러두기 12

서론-성철 스님을 바라보는 여섯 장(章)의 모자이크 그림 21

제 1 부 돈점논쟁(頓漸論爭) 그리고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

제 1 장 <선문정로(禪門正路)>에 나타난 선종의 전통에 대한 인식 31

선 수행(禪 修行)의 바른 길 31
성철 스님의 언어관(言語觀)-손가락과 달 34
< 선문정로>의 구조(構造) 및 구성요소(構成要素) 37
가. 돈오점수를 반박하기 위한 전체 구조 37
나. 돈오돈수를 강조하기 위한 각 장의 구조 41
다. <선문정로>의 구성요소: 인용된 경론(經論) 조사어록(祖師語錄)
과 저자(著者) 42
성철 스님의 인용 방법에 나타난 창과 방패 47
< 돈황본 육조단경>과 <선문정로> 51
전통에 대한 비타협성(非妥協性)과 배타성(排他性) 55
간화선수행-돈오돈수 체득을 위한 필수 수단 58

제 2 장 그리스도교 관점에서 조명(照明)하는 돈점논쟁 61

비교종교학적으로 대비해 보는 ‘돈점(頓漸)’의 개념 61
퇴옹성철의 돈오돈수사상의 특성 66
가. 성철 스님에 대한 비판 재고(批判 再考) 66
나. 성철 스님의 해석학적 순환(解釋學的 循環)의 문제 69
다. 성철 스님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71
신약성서에 나타난 돈오돈수와 돈오점수의 탐구 77
가. 신약성서에서의 돈오돈수(頓悟頓修) 탐구 78
나. 신약성서에서의 돈오점수(頓悟漸修) 탐구 84
다. 신약성서에서의 돈오돈수와 돈오점수의 관계 88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에 대한 조명(照明) 90
돈오돈수적 패러다임의 바람직한 길 92

제 2 부 한국불교의 세계화와 포스트-퇴옹성철

제 1 장 ‘가야산 호랑이’의 선사상(禪思想)을 어떻게
서양(西洋)에 소개할 것인가? 97

종교적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돈오돈수론 97
성철 스님에 대한 몇 가지 오해(誤解)의 불식(拂拭) 100
가. 한국불교 역사 속에서의 위치(位置) 101
나. 인가(印可)와 깨달음 102
다. 돈오돈수사상(頓悟頓修思想)과 오후수행불행(悟後修行佛行) 102
라. 창의성(創意性)과 개척 정신 103
마. 박학한 종교가로서의 면모(面貌) 104
바. <한국불교의 법맥>과 역사관(歷史觀) 104
사. 사실(事實)은 사실(事實)이요, 거짓은 거짓이로다 108
20세기 한반도 역사에서 그분의 등장과 의의(意義) 108
가. 사상적(思想的)인 측면에서의 의의 108
나. 정치사회적(政治社會的)인 측면에서의 의의 111
돈오돈수론과 간화선수행에 대한 고찰 112
가. 돈오돈수사상이 강조(强調)한 점(點) 113
나. 성철 스님의 간화선수행의 세 단계 114
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117
퇴옹성철, 달라이 라마, 그리고 틱낫한 118

제 2 장 한국간화선의 전통과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한불교조계종의 간화선 세계화 캠페인에 부쳐 123

대한불교조계종의 천명(闡明): ‘간화선, 세계를 비추다’ 123
간화선 수증(看話禪 修證)이 한국불교의 종지종풍(宗旨宗風)인가? 128
가. 한국간화선 전통에 대한 세 가지 질문 129
나. 한국간화선의 정통성을 재건하는 세 가지 방안 133
대한불교조계종이 처한 위기의 정황과 캠페인 141
가. 국가적 수준에서의 내외적 도전 141
나. 세계적 수준에서의 한국불교의 위기의식 144
오늘날 한국사회 속에서 대혜종고의 가르침의 해석 146
돈(頓)과 체험(體驗)의 수사법(The Rhetorics of Immediacy and Experience)
의 재현 151

제 3 장 현대 한국에서의 <법보단경(法寶檀經)> 번역과 퇴옹성철 157

한국불교와 정치의 간단한 역사 158
팔만대장경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사업 163
< 돈황본 육조단경>: 퇴옹성철의 현토 편역과 그 의의에 대한 고찰 166
가. 성철 스님의 생애 166
나. 성철 스님의 전서의 구조와 육조혜능 172
다. 성철 스님의 불교 정통관과 보조지눌에 대한 이해 172
라. 성철 스님의 해석학에 대한 고찰 174
성철 스님의 현토 편역 외의 다른 번역들을 분류하는 단상 178
‘성철적인’ 바벨탑의 끝 181

제 3 부 20세기 한국사와 퇴옹성철의 사자후(獅子吼)-
깨달음bodhi과 역사sattva인가, 역사와 깨달음인가?

Son Master T’oeong Songch’ol’s Legacy: A Reflection on
the Political Background of the Korean Sudden/Gradual Debate 187

A Critical Reflection on Songch’ol’s Legacy 187
T’oeong Songch’ol and the South Korean Polity 193
Buddha, Early and Asokan Buddhism and the Polity 201
Chinese and Korean Meditation Masters and the Polity 205
Structural Resonance between the Way of the State and Songch’ol’s Way 216
World Conqueror and World Renouncer 236

후 론-퇴옹성철과 간화선 세계화 연구를 단장하고 보수 관리하는 기폭제 241

영문초록(Abstract) 247
국문 참고문헌 248
영문 참고문헌 259
찾아보기(Index) 275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