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 반오이디푸스 문화론 (나68코너)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 반오이디푸스 문화론 (나68코너)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 반오이디푸스 문화론 (나68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나병철 (지은이)
출판사 / 판형 문예출판사 / 2007년 1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510쪽
정가 / 판매가 25,000원 / 12,000원

도서 상품 상태

보통(하드커버) - 도서관 책이지만 옆면과 상단에 도서관 직인 지운 검정 매직줄 외에는 상태 아주 좋음, 자켓은 없음

도서 설명

우리의 반오이디푸스 문화론을 살펴보다

가족로망스는 아버지에 반항하는 소년이나 청년의 이야기로,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우리문학에서도 흔히 아버지에 반항하는 청년이 근대소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 서구소설이 아버지에 반항하는 '오이디푸스적 장르'인 데 반해, 우리소설은 아버지로부터 이탈하려는 '비오이디푸스적 욕망'에 의해 움직인다. 오이디푸스 구조에서 해방되려는 소망을 지닌다는 점에서 우리소설은 들뢰즈가 말한 '앙티오이디푸스적' 무의식을 포함하고 있다.

<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은 우리문학과 문화에 나타난 가족로망스의 사회적 의미와 정치적 무의식을 연구한 책이다. 서구의 앙티오이디푸스를 동양문화적인 탈식민주의의 입장에서 재조명한 연구라고도 할 수 있다. 근대 이후에도 오이디푸스에서 벗어나려는 비오이디푸스적 욕망은 계속 이어졌고, 그것은 서구와 구분되는 우리문화의 특수성을 드러낸다. 저자는 그 구체적인 예를 프랑스 혁명기의 고아소설과 3ㆍ1운동기의 연애소설의 차이, 교양소설과 성장소설의 차이, 그리고 우리의 TV드라마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의 가족로망스가 서구와는 다른 사회적 의미와 정치적 무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자연의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오이디푸스 가족을 넘어선 또 다른 가족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서구 교양소설과는 달리 2000년대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성장소설과 청년의 형식을 통해, 오이디푸스 외부에서의 새로운 삶의 희망을 가늠해 보는 책이다. [양장본]

목차

책 머리에

1부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제1장 자본주의 사회의 가족로망스와 탈식민주의
1. 사생아, 고아, 그리고 가족의 해체
2. 근대의 고아들과 오이디푸스 구조
3. 식민지의 고아들과 아버지의 부재
4. 탈식민주의적인 고아적 무의식과 사랑의 욕망
5. ‘연애의 시대’와 ‘사랑의 혁명’의 시대

제2장 제국의 노블과 식민지의 소설
1. 소설의 기원과 오이디푸스 ― 《무정》과 《로빈슨 크루소》
2. 환멸소설과 ‘틈새의 공간’ ― 〈만세전〉과 《어둠의 심부》
3. 제국의 사생아적 소설과 식민지의 가족소설
4. 제국의 오이디푸스적 장르와 식민지의 비오이디푸스적 장르

제3장 오이디푸스 가족과 서구문화의 오이디푸스적 구조
1. 내면의 발견과 무의식의 발견
2. ‘사적 가족’의 발견과 오이디푸스 구조
3. ‘모든 것’의 기원으로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4. 서구문화의 기원과 오이디푸스
5. 원초적인 아버지 살해와 형제들의 연대

제4장 서구의 오이디푸스적 구조와 동양의 비오이디푸스적 욕망
1. 서구의 ‘동일성’의 서사와 동양의 ‘차연’의 서사
2. 절대적 ‘동일성’의 신화와 ‘자연순리’의 신화
3. 기독교의 ‘원죄’의 구원과 도교의 ‘차연’으로의 복귀
4. 유교의 인위적 도와 도교의 자연의 도
5. 빛과 어둠의 아이러니 ― 계몽사상과 불교
6. 서양의 비극과 동양의 민중전설
7. 《오이디푸스 왕》과 《아기장수 전설》
8. 오이디푸스의 비극과 달래고개의 비극

제5장 후기자본주의적 동화에서 ‘자연의 가족’으로
1. 《신데렐라》 이야기와 후기자본주의적 동화
2. 모더니즘의 우화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동화
3. 〈도둑맞은 가난〉과 〈프린세스 안나〉
4. 〈봄날의 미소〉와 ‘자연의 가족’
5. 신데렐라 뒤집기와 비오이디푸스적 욕망
― 〈내 이름은 김삼순〉 〈이 죽일 놈의 사랑〉 〈백만장자와 결혼하기〉

제6장 오이디푸스 가족과 유교적 가족, 그리고 자연의 가족
1. 오이디푸스 가족과 자본의 운동 ― 자본과 아버지
2. 유교적 가족과 정태적 화해의 형식 ― 수신제가치국평천하
3. 자연의 가족과 타자성의 원리 ― 비움과 어머니의 수사학

제7장 성장소설과 가족로망스
1. 청년 주인공과 성장소설
2. 교양소설·입사소설·성장소설
3. 교양소설과 환멸소설
4. 내면고백체와 성장소설
5. 서구 교양소설의 미학과 역사
6. 우리 성장소설의 미학과 역사


2부 성장소설의 미학과 역사

제1장 사라진 ‘소년의 천국’ ― 이광수의 성장소설과 가족로망스
1. 근대소설과 가족로망스
2. 가족로망스의 정치적 무의식
3. 고아의 반항에서 ‘소년의 비애’로
4. 성장의 통로로서의 오누이 구조
5. 가족의 정체성과 식민지 오이디푸스 구조

제2장 연애의 시대의 성장소설과 고백체소설
1. 새로운 이념으로서의 사랑과 예술
2. 연애의 시대와 식민지의 가족로망스
3. 신경증과 오이디푸스 구조
4. 연애와 자본주의
5. 가족의 해체와 타자의 발견

제3장 식민지 시대 성장소설의 두 가지 계보
1. 시민사회의 교양소설과 식민지의 성장소설
2. 지식인의 교양과 예술에 대한 열정
3. 염상섭의 성장소설과 탈식민주의
4. 민중적 성장소설과 새로운 공동체의 전망
5. 사랑의 서사와 정치적 무의적

제4장 전쟁체험과 성장소설
1. 아버지의 부재와 전쟁의 의미
2. 성장의 중단과 예속화의 거부
3. 위악적인 성장과 응시의 언어
4. 전쟁과 놀이 ― 소년들의 연대
5. 굶주림과 ‘배고픔 같은 그리움’
6.‘사랑의 갈증’과 성장소설

제5장 욕망의 시대의 성장소설
1. 욕망과 환멸의 변증법
2. 욕망의 존재론과 ‘가짜낙원’의 해체
3. 동화적 판타지와 일상화된 환멸
4. 냉담과 고독을 넘어서는 회상 속의 자아탐색
5. 과거의 황폐한 삶 속의 사랑과 연대
6. 새로운 연대와 아버지 없는 대서사를 위하여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