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코너)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코너)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종욱 (지은이)
출판사 / 판형 소나무 / 1999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99쪽
정가 / 판매가 18,000원 / 14,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20세기 한국사연구의 통설에 대한 창조적 비판서. 한국사학 및 인류학, 고고학, 사회학을 폭넓게 수학한 저자는 지난 100년간의 한국 고대사에 대한 기존의 학설들이 새로운 감각으로 다시 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한국사학계에서 사료에 대한 치밀한 고증을 토대로 한 실증주의 방법틀이 강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엄밀히 사료로부터 출발하는 역사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저자의 연구는 시작부터 통설로부터 벗어나 있다. 그는 '삼국사기'에서의 초기기록을 사료로 인정하고, 한국 고대사를 들여다본다. 기존의 통설들이 삼국사기의 초기기록을 부정하고, 삼국지의 '한전(韓傳)'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고대사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저자는 삼국사기의 초기기록을 왜 부정하는지, 삼국지의 한전만을 왜 인정하는지에 대한 변변한 논의조차 없었다고 운을 뗀다.

삼국지의 한전만을 사료로 인정해온 것은 일본의 황국사관이며, 이에 대해 지난 100년 동안 창조적인 비판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지 한전에 대한 사료적 검토를 선행한 후, 건국신화(설화)와 광개토왕비 등 금석문을 통해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를 구상한다. 아울러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연계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저자의 시각은 한국 고대사에서 거의 역사적 사실처럼 믿어져 왔던 '부체제설'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 책은 한국 고대사에 대해 기존의 통설에 만족하지 않고, 인류학 연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면서 사회발전을 중시하는 역사적 관점과 사회 전체를 중시하는 구조적인 관점을 아울러 새로운 한국 고대사 체계를 세우고자 하였다.

학문 발전은 곧 통설에 대하여 비판적이면서 동시에 창조적인 시각이 있을 때 가능하다고 본다면, 이 책은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윤활유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