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알20코너)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알20코너)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알20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김혜경(저자)
출판사 / 판형 창비 / 2006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84쪽
정가 / 판매가 25,000원 / 19,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한국의 '근대'가족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역사적 접근이 부족했음은 물론이고, 주로 1960년대 이후의 산업화를 배경으로 한 연구로 제한되어 왔다. 또한 일반적으로 '근대'가족은 '전통'가족과는 달리 발전한 가족 유형 혹은 산업화에 동반한 부부중심적 핵가족이라는 도덕적ㆍ규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1백년 동안 식민지화와 근대화라는 급격한 변동을 겪어온 우리나라에서 가족의 근대적 변형과정을 그러한 상식적인 변화의 과정으로 보기는 힘들 뿐만 아니라, 서구의 신가족사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산업화란 가족 근대화의 결정적 변수라기보다는 여러 변수 중 하나에 불과하다.

이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저자는 이 책에서 일제의 지배가 기틀을 갖춘 1920년대 초부터 본격적인 전시체제가 굳어진 1930년대 말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식민지적 근대'란 개념적 맥락 속에서 조선가족의 근대적 변모과정을 분석한다.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 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에 | 새로운 가족 만들기를 향한 가족사 쓰기의 항해를 시작하며

서론
Ⅰ. 문제의 제기

Ⅱ. 연구의 과제와 방법
1. 연구의 과제와 본서의 구성
2. 연구의 방법(론)
3. 자료의 성격과 연구과정

제1부 이론적 배경

Ⅰ. 가족의 개념과 범위:근대/전통/식민지와의 관계
1. '근대가족'개념의 역사적 다양성
2. '식민지적 근대성'과 가족

Ⅱ. 근대사회와 가족, 어린이
1. 근대적 감성으로서의 '어린이기'
2. 근대적 권력양식과 어린이: 가족을 통한 통치
3. 어린이의 양성과 전문가 체계
4. 근대의 식민지 경영과 어린이

Ⅲ. 근대사회와 젠터규범
1. 모성의 강화와 여성의 '권력화' 논의
2. '주부'의 탄생과 가사노동

Ⅳ. 논의의 정리

제2부 식민지하 가족을 둘러싼 사회환경

Ⅰ. 산업, 도시, 인구
1. 산업화와 도시화
2. 도시가구의 경제생활의 변화
3. 가구의 인구학적 특성

Ⅱ. 학교제도의 성립
1. 일제의 교육정책과 초등학교
2. 고등교육의 성립과 여성의 참여

Ⅲ.기독교회와 의료선교기구의 확장

Ⅳ.근대학문의 도입
1. 서양의학
2. 유아교육학
3. 가정과학

제3부 '식민지적 근대'와 가족

Ⅰ. '어린이기'의 형성과 가족 1: 자녀양육과 가정의 의료화
1. 전통사회의 양육규범
2. 자녀양육에 대한 담론의 변화
3. 어린이 건강에 대한 의료적, 제도적 개입
4. 가정의 의료화와 모성의 강화

Ⅱ.'어린이기'의 형성과 가족 2: 교육제도화와 가정역할 변화
1. 전통사회의 아동교육과 역할관
2. 어린이 교육에 대한 담론변화
3. 제도교육의 성립과 '어린이기'
4. '가족을 통한' 통치와 가족관계의 변화

Ⅲ. 가사노동과 '주부'의 탄생
1. 전통사회의 가사노동규범
2. 가사노동담론과 생산주체
3. 신가사노동담론의 수용방식과 근대적 '주부'

Ⅳ. 가족의 범위와 경계의 재형성: 핵가족 개념의 구성과 젠더
1. '전통'가족의 개념과 친족유대
2. 새로운 가족론의 대두: 가족 개념과 경계의 재형성
3. 가족 개념들간의 긴장과 혼성
4. 새로운 가족론의 수용방식과 성차, 다양성
5. 일제하 핵가족론의 식민지적 근대성과 젠더

요약 및 결론 | 일제 식민지하 가족과 젠더규범의 변화
Ⅰ. 요약 및 논의의 정리
1. '어린이기'의 형성과 가족 모성의 변화
2. '전업주부론'과 근대적 성별분업
3. 근대적 '핵가족' 개념의 식민지적 형성: 가족 범주의 중층성

Ⅱ. 결론: 일제하 조선에서의 식민지적 근대화와 가족 젠더규범의 변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